본문 바로가기

북한 "남한 복지부 무능...메르스 중동보다 빨리 확산" (2015-06-12) 북한 "남한 복지부 무능...메르스 중동보다 빨리 확산" 북한이 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로 고생하고 있는 대한민국의 상황을 강력하게 비난하고 나섰습니다. 대북소식통에 따르면 북한 조선중앙통신은 6월 12일 민주조선에 실린 개인필명의 글을 소개했습니다. 이글은 한국의 메르스 상황을 비난하는 내용입니다. 조선중앙통신은 최근 남한에서 메르스가 발생해 사회적으로,국제적으로 커다란 물의를 일으키고 있다고 보도했습니다. 북한은 5월에 남한에서 발생한 메르스가 전 지역으로 급속히 전파되고 있다며 6월 10일 환자수가 108명에 달하고 감염 가능성이 있는 사람도 수 천 명에 달하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북한은 메르스로 인해 학교들이 휴교를 하고 있으며 경제에도 큰 타격을 주고 있다고 자세히 소개.. 더보기
북한 과학기술 통합 DB 구축 중 (2015-06-11) 북한 과학기술 통합 DB 구축 중 북한이 10월 완공 예정인 과학기술전당에 비치해 사용할 과학기술 종합 데이터베이스(DB)와 정보제공시스템을 구축하고 있다고 합니다. 대북소식통에 따르면 북한 로동신문은 6월 11일 과학기술전당 운영을 위한 준비사업이 추진되고 있다고 보도했습니다. 북한은 김정은의 지시에 따라 평양 쑥섬지구에 과학기술전당을 구축하고 있습니다. 건축 중인 과학기술전당 모습 로동신문은 과학기술전당 운영 준비사업을 맡은 현장지휘부의 지도밑에 폭넓은 자료기지와 종합적인 정보봉사체계를 구축하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로동신문은 과학기술전당이 과학자, 기술자, 연구사, 대학생들은 물론 일반 주민이 찾아와 컴퓨터망과 전시품들을 이용해 기초 및 일반지식, 최신 과학기술을 신속히 열람.. 더보기
북한의 역사 시대 구분은? (2015-06-11) 북한의 역사 시대 구분은? 대한민국과 북한은 한민족이라는 정체성을 공유하고 있습니다. 북한도 한국처럼 단군조선, 고구려, 신라, 백제, 고려, 조선으로 이어지는 역사를 인정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북한의 역사 인식은 한국과 미묘한 차이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습니다. 본 기자는 이런 차이를 보여주는 북한 자료를 입수했습니다. 사진1은 북한은 작성해 대외 선전용으로 쓰고 있는 시대구분표라고 합니다. 구석기 시대부터 현대에 이르기 까지 시대가 구분돼 있습니다. 북한의 시대구분은 단군조선부터 차이를 보이고 있습니다. 남한에서는 고조선 건국은 기원전 2333년으로 보고 있는데 북한은 기원전 30세기초로 더 오래전에 건국된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또 고대사에서 부여와 진국 이외에 구.. 더보기
통준위, 통일한국 정치법제도 구축 방안 연구 (2015-06-10) 통준위, 통일한국 정치법제도 구축 방안 연구 정부 관계자들에 따르면 대통령 직속 통일준비위원회가 11월까지 통일한국의 정치법제도 구축 방안을 연구한다고 합니다. 통준위는 통일비용과 통일 후 경제체제 등에 대한 논의는 활성화돼 있으나, 통일 후 포괄적 정치법제도 건설에 대한 논의가 취약해 통일과정 및 통일 후의 통일국가 체계 완성과 관련해 정치법제도 구축 방안에 대한 종합적, 유기적 연구를 추진한다고 합니다. 이번 연구는 기존 연구의 개별적 접근방식에서 벗어나 통일국가의 민주주의 및 법치주의에 입각한 선진민주정치국가 건설을 위한 종합적 관점에서 진행된다고 합니다. 통일국가 수립 후의 권력구도, 행정체계, 정당 및 선거제도, 법질서 통합, 지방자치 제도 등이 대상이라고 합니다. 통준위.. 더보기
통준위 남북관계개선 로드맵 마련 (2015-06-07) 통준위 남북관계개선 로드맵 마련 대통령 직속 통일준비위원회가 남북관계 개선과 한반도 평화정착을 위한 외교 전략을 마련한다고 합니다. 정부 관계자들에 따르면 통일준비위원회는 11월까지 '한반도 평화정착과 통일한국의 외교' 방안을 연구하기로 했습니다. 통준위는 경색돼 있는 남북관계를 개선시킬 수 있는 실질적인 로드맵을 구상하고 한반도의 평화정착을 위한 주변 국가를 대상으로 하는 맞춤형 통일외교 전략을 마련하겠다는 것입니다. 우선 통준위는 한반도 신평화 구상의 남북관계 개선을 위한 로드맵을 마련한다고 합니다. 기존 신평화 구상의 연구의 보완·발전을 통해 경색돼 있는 남북관계를 관계개선의 국면으로 전환 시킬 방안을 마련하고 로드맵을 제시할 것이라고 합니다. 남과 북의 가용한 협상 레버리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