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북한이 사용하는 보안기술 Kerberos부터 VPN까지 (2014-07-06) 북한이 사용하는 보안기술 Kerberos부터 VPN까지 북한에서는 보안을 위해 어떤 기술들을 사용하고 있을까요? 북한도 한국처럼 방화벽, 가상사설망(VPN), 각종 암호규약을 사용합니다. 최근 저는 북한 붉은별 운영체제(OS) 3.0 서버용 제품의 지도서를 입수했습니다. 북한 붉은별 3.0 사용지도서 및 보안설정지도서 입수 http://wingofwolf.tistory.com/690 붉은별 3.0 서버용 보안지도서에는 북한에서 사용하는 보안기술에 대해서 설명하고 있습니다. 보안기술을 이해시키고 설정 방법 등을 설명하는 것입니다. 사진1을 보면 붉은별 3.0 서버용 제품에 높은 수준의 공개키방식의 암호화 알고리듬이 이용되고 있다고 나옵니다. OpenSSH와 GPG가 그것입니다. 둘다.. 더보기
북한 붉은별3.0의 보안 및 비밀번호 정책은? (2014-07-06) 북한 붉은별3.0의 보안 및 비밀번호 정책은? 해커로 부터 시스템을 지키는 보안 문제가 전 세계적인 화두가 되고 있습니다. 북한 역시 보안을 강화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북한의 IT 보안 점검 항목은 어떻게 구성됐으며 비밀번호는 어떻게 설정하고 있을까요? 북한은 체계적인 보안 정책을 추진하고 있고 비밀번호도 8자리 이상 복잡한 숫자로 구성하고 있다고 합니다. 최근 저는 북한 붉은별 운영체제(OS) 3.0 서버용 제품의 지도서를 입수했습니다. 북한 붉은별 3.0 사용지도서 및 보안설정지도서 입수 http://wingofwolf.tistory.com/690 이중 '붉은별 봉사기용체계 보안봉사대몬관리지도서', '붉은별 봉사기용체계 3.0 기초보안설정지도서'에 나온 북한의 보안 점검.. 더보기
북한, 김일성 사망 20년 국제인터넷토론회 개최 (2014-07-06) 북한, 김일성 사망 20년 국제인터넷토론회 개최 북한 김일성 사망 20년을 맞아 김일성을 주제로한 국제인터넷토론회가 열렸다고 합니다. 대북 소식통에 따르면 조선중앙통신은 6월 26일부터 28일까지 '세기의 위인-김일성' 국제인터넷토론회가 열렸다고 보도했습니다. 김일성을 1994년 7월 8일 사망한 바 있습니다. 토론회는 인도네시아 자카르타에서 현지 토론회를 하면서 인터넷상에 세계 여러 지역 및 나라들에 친북 세력이 글을 올리는 방식으로 진행됐다고 합니다. 북한은 해외에서 김일성을 경모해서 토론회를 열었다고 주장했지만 현지 북한 대사관 등이 주도하고 친북 세력이 참여한 것으로 보입니다. 북한은 이 행사에 러시아, 방글라데시, 브라질 등 50개 국가에서 70여명의 각계 인사들가 참여했.. 더보기
북한 김정은 자동차는 벤츠 S클래스? (2014-07-06) 북한 김정은 자동차는 벤츠 S클래스? 북한의 최고 권력자 김정은는 어떤 자동차를 타고 다닐까요? 김정은은 벤츠 S클래스 리무진을 타고 다니는 것으로 추정됩니다. 사진1은 김정은의 시찰 사진입니다. 오른쪽에 차량의 모습이 보입니다. 사진2는 김정은의 군시찰 모습입니다. 오른쪽 윗부분을 보면 차량이 있는데 벤츠 마크가 선명하게 보입니다. 사진2의 전면을 보면 벤츠 차량 종류를 가늠할 수 있습니다. 사진3 출처 벤츠 사이트 사진3을 보면 윗 차량은 벤츠 E클래스입니다. 벤츠의 많은 차량 종류들이 E클래스 전면처럼 생겼습니다. S클래스만 아랫 모습처럼 전면이 구성돼 있습니다. 사진2와 비교해보면 S클래스 전면과 비슷하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사진4가 벤츠 S클래스 모습입니다. 사진5는.. 더보기
남북 도서통합 관리 전략 마련 (2014-07-06) 남북 도서통합 관리 전략 마련 국립중앙도서관이 남북 도서관례를 연구하고 도서관 통합 전략을 마련할 것이라고 합니다. 정부 관계자들에 따르면 국립중앙도서관은 7월부터 11월까지 남북통일에 대비해 국립중앙도서관의 대응방안을 마련할 것이라고 합니다. 우선 도서관은 독일 통일을 전후한 도서관계의 현황과 협력활동 등을 동독, 서독 국립도서관의 활동을 중심으로 조사 및 분석할 것이라고 합니다. 통일 전후의 동, 서독 도서관계가 어떠했는지 확인하고 독일국립도서관을 중심으로 한 통일독일의 도서관 통합을 위한 노력을 살펴볼 것이라고 합니다. 또 현재 남한과 북한의 도서관 관리 실태를 조사하고 통일 한반도 국립중앙도서관으로의 과제와 대응방안을 만들것이라고 합니다. 통일 과정에서 무엇보다 문화적 통일..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