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북한에선 어떤 휴대폰 사용?...중국 ZTE 제품 인기 (2013-03-03) 북한에선 어떤 휴대폰 사용?...중국 ZTE 제품 인기 지난 2008년 이집트 오라스콤텔레콤이 북한 체신청과 합작사 고려링크를 설립해 북한에 이동통신 서비스를 실시하고 있습니다. 현재 북한 내 이동통신 사용자는 200만명에 육박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북한이 북한을 방문하는 외국인들에게 휴대폰 사용과 데이터통신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도록 허용해 화제가 된 바 있습니다. 그렇다면 북한은 어떤 휴대폰 단말기를 사용하고 있을까요? 알려진 바에 따르면 중국 제품이나 중국에서 부품을 들어와 조립한 제품들이 사용되고 있으며 북한 일부 계층에서는 노키아, 소니에릭슨, 애플, 삼성전자 휴대폰을 사용하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그런데 최근 북한의 단말기 사용 내용을 볼 수 있는 내용.. 더보기
베일 벗은 평양과기대 컴퓨터공학, 국제금융 등 학부 운영...해외 유학도 (2013-03-03) 베일 벗은 평양과기대 컴퓨터공학, 국제금융 등 학부 운영...해외 유학도 평양과학기술대학 설립에 참여한 박찬모 포항공과대학교 명예교수가 평양과학기술대 현황과 비하인드 스토리를 공개했습니다. 북한은 최우수 인력을 선발해 평양과학기술대에서 공부를 시키고 있으며 특별 대우를 하는 것은 물론 해외 유학도 허용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최근 북한과학기술네트워크(http://www.nktech.net/)는 북한 과학기술연구 9집을 발간했습니다. 2010년 3월 8집을 발간한 후 3년만에 내놓은 연구집 입니다. 북한 과학기술연구 9집에 박찬모 교수는 '평양과학기술대학의 비전과 한반도 미래'라는 제목이라는 연구 내용을 올렸습니다. 여기서 박찬모 교수는 평양과학기술대학 설립 전후 과정과 현황.. 더보기
북한 릉라곱등어관 정보 시스템 구축 (2013-03-03) 북한 릉라곱등어관 정보 시스템 구축 북한이 북한을 방문하는 해외 방문객들과 국내 주요 인사들을 대상으로 릉라곱등어관(돌고래)을 관람하도록 하고 있습니다. 최근에 북한을 방문한 데니스 로드먼 일행도 릉라곱등어관을 방문해 돌고래쇼를 관람했다고 합니다. 그런데 북한이 릉라곱등어관에 정보화를 구현하고 이를 소개하기 위한 '릉라 1.0' 시스템을 개발했다고 합니다. 사진1, 2는 릉라곱등어관의 돌고래쑈 모습입니다. 사진3은 최근 릉라곱등어관에 설치된 정보화실 모습입니다. 사진4는 북한이 개발한 릉라 1.0 모습입니다. 릉라1.0은 돌고래와 바다사자를 비롯한 바다동물들의 정보를 데이터베이스(DB)화해 자료와 영상으로 제공한다고 합니다. 북한은 릉라 1.0 개발뿐 아니라 DVD 자료도 제작해 .. 더보기
북한 23개 국제체육대회 참가...역도 국제대회 개최도 추진 (2013-03-01) 북한 23개 국제체육대회 참가...역도 국제대회 개최도 추진 북한이 올해 23개 국제체육대회에 참가할 예정이며 앞으로 마라톤, 탁구, 역도 국제 대회도 평양에서 개최할 것이라고 합니다. 대북 소식통에 따르면 북한은 올해 개최되는 국제체육경기대회 참가 계획을 마련했다고 합니다. 계획에 따르면 종합경기대회 부문에서는 아시아청소년경기대회(중국 남경 2013.8.16~24), 제6차 동아시아경기대회(중국 천진 2013.10.6~15)에 참가할 예정이라고 합니다. 북한은 역도, 탁구, 사격, 육상 등 다양한 종목별 12개 세계선수권대회에도 참석할 것이라고 합니다. * 북한이 참가할 예정인 종목별 세계선수권대회 세계청소년역도선수권대회(우주베키스탄 2013.4.6~13) 세계청년역도선수권대회(.. 더보기
북한, 임상약물정보시스템 구축 (2013-03-01) 북한, 임상약물정보시스템 구축 북한이 수만종의 의약품 정보를 제공하는 임상약물정보시스템을 구축했다고 합니다. 대북 소식통에 따르면 3월 1일 북한 로동신문은 김일성종합대학 평양의학대학에서 보다 과학화 된 '림상약물정보봉사체계'를 확립했다고 보도했습니다. 로동신문은 이 시스템에 북한과 세계 여러 나라들에서 널리 쓰이는 1만 수천 종의 약물들과 15만 수천종의 약품들에 관한 정보가 담겨져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그중 천연 약물 600여종의 정보가 있으며 2000여종의 약물과 약품들의 상호작용프로그램과 소화기계통, 순환기계통 등 20여개 계통의 질병들에 대한 1만 5000여개의 검색어 데이터베이스(DB)도 구축됐다고 소개했습니다. 북한이 2011년 11월 김정일의 지시에 의해 임상약물정보..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