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기사/북한IT 썸네일형 리스트형 북한 "미국 2000만달러 사용해 북한 사이버공격 음모 준비" (2014-05-25) 북한 "미국 2000만달러 사용해 북한 사이버공격 음모 준비" 북한이 미국 정부가 북한을 노린 사이버공격을 준비하고 있다고 비난했습니다. 대북 소식통에 따르면 조선중앙통신은 5월 23일 논평을 발표하고 미국이 북한을 사이버공격대상으로 지목하고 각 방면에 걸쳐 고립 압살하려는 책동을 하고 있다고 주장했다고 합니다. 북한은 미국이 인터넷 관리에서 차지하고있는 특수한 지위를 이용해 사이버공간을 하늘과 땅, 바다, 우주에 이어 5번째 영역으로 간주하고 그에 대한 패권을 노리고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조선중앙통신은 미국 첩보기관이 6억 5200만달러를 들여 세계 각국의 통신 및 컴퓨터망에 악성코드를 전파시켜 컴퓨터네트워크를 해킹하는 작전을 벌려왔다고 설명했습니다. 북한은 미국 중앙정보부(CI.. 더보기 북한 "구름계산(클라우드 컴퓨팅)에 관심" (2014-05-25) 북한 "구름계산(클라우드 컴퓨팅)에 관심" 북한이 클라우드 컴퓨팅을 도입하면 효율성을 높일 수 있어 많은 관심을 나타내고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대북 소식통에 따르면 25일 북한 로동신문은 '관심을 모으는 구름계산'이라는 기사를 게재했다고 합니다. 로동신문은 "현재 세계적으로 정보기술은 다양한 정보와 지식을 쉽게 얻고 효률적으로 이용하며 사람들의 생활향상에 이바지할 수 있는 방향으로 발전하고 있다"며 "이런 정보망을 구축하기 위한 기초환경을 제공하는 것이 바로 구름계산(Cloud computing)이다"라고 주장했습니다. 로동신문은 구름계산이 기업경영 등에 쓰이는 프로그램들을 개발하고 실행하는데 필요한 자료의 계산 및 기억능력을 인터네트 등의 컴퓨터망으로부터 제공받을 수 있게 하는 .. 더보기 블로그스팟의 북한 태양절 기념관 (2014-05-19) 블로그스팟의 북한 태양절 기념관 인터넷에 영문으로 된 일명 태양절 블로그가 구글 블로그스팟에 개설됐습니다. 태양절(Day of the sun)은 김일성의 생일인 4월 15일을 기념하는 북한 최대 명절을 뜻합니다. 사진1은 태양절을 기념해 지난 4월 만들어진 블로그입니다. 김일성의 자서전이 세기와 더불어 영문판이 PDF 파일로 올려져 있습니다. 김일성은 1991년경부터 회고록 저술에 관한 구상을 시작해 1992년에 세기와 더불어 첫 번째 판이 북한에서 출판됐습니다. 이후 회고록은 조선로동당출판사에서 여러 번 출판됐고 영어, 일본어, 중국어, 러시아어, 스페인어로 번역되기도 했습니다. 세기와 더불어에는 김일성의 어린 시절부터 일제 시대를 거쳐 북한 정권을 수립하는 등의 김일성 생애를 .. 더보기 북한 SW품질 관리체계 구축 (2014-05-15) 북한 SW품질 관리체계 구축 북한이 소프트웨어(SW) 품질 관리체계를 구축했다고 합니다. SW의 품질수준을 높이기 위한 조치로 해석됩니다. 본 기자가 입수한 영상에 따르면 평양정보기술국은 지난 4월 23일이 열린 29차 중앙과학기술축전에서 소프트웨어(SW)품질관리지원체계를 구축했다고 밝혔습니다. 사진1은 SW품질관리지원체계 설명 자료입니다. 사진2, 3은 SW 품질관리지원체계 관리 대상 모습입니다. 북한에서 제작한 해당 영상은 품질이라고 하면 신발이나 제품 질을 생각하지만 정보기술 제품의 품질이 중요하다고 강조하고 있습니다다. 이에 북한은 프로그램의 질을 높이는 것은 매우 중요한 문제로 파악하고 SW품질관리지원체계를 도입하고 있다고 합니다. 태블릭PC(판형콤퓨터) 아리랑과 건축설계.. 더보기 북한 "흑백사진 컬러 전환 SW 개발" (2014-05-15) 북한 "흑백사진 컬러 전환 SW 개발" 북한이 흑백 사진을 컬러 사진으로 자동으로 바꿔주는 소프트웨어(SW)를 개발했다고 합니다. 북한은 지난 4월 23일이 열린 29차 중앙과학기술축전을 개최했습니다. 이 행사에서 김일성종합대학 콤퓨터과학대학은 흑백사진 천연색화하는 프로그램을 개발했다고 합니다. 북한은 영화 제작 부문 현대화를 추진하면서 이 SW를 개발했다고 합니다. 종전 프로그램은 개별적으로 붓질해주는 방식으로 색깔을 지정해줬지만 이 SW는 영역에 자동적으로 색깔을 준다고 합니다. 사진1은 SW 설명 내용입니다. 사진2는 전환된 사진 모습입니다. 강진규 기자 wingofwolf@gmail.com 더보기 북한 차세대통신망 평양 구축...전국 확산 준비 (2014-05-11) 북한 차세대통신망 평양 구축...전국 확산 준비 북한이 음성 뿐 아니라 영상, 데이터 등을 주고받을 수 있는 차세대통신망(NGN)을 평양에 구축했으며 이를 전국으로 확대할 것이라고 합니다. 북한은 차세대망을 통해 원격진료 등을 뒷받침하고 있다고 합니다. 대북 소식통에 따르면 중앙정보통신국이 차세대통신망 성과를 최근 열림 29차 중앙과학기술축전에서 공개했다고 합니다. 지난 4월 24일 북한 조선중앙통신은 4월 23일 29차 중앙과학기술축전이 개막됐으며 180여개 단체에서 참가한다고 보도했습니다. 29차 중앙과학기술축전 모습 축전에서는 농업, 건설건재, 경공업, 정보기술, 나노기술, 금속, 화학공업분과를 비롯한 20개 분과로 나뉘여 단체, 개인별로 과학기술성과와 경험들을 발표하며 첨단.. 더보기 북한판 전자도서관 미래원 확산 총력 (2014-05-11) 북한판 전자도서관 미래원 확산 총력 북한이 전자도서관인 미래원을 각 시, 군에 설립하는 작업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고 합니다. 대북 소식통에 따르면 5월 9일 북한 조선중앙통신은 "조선의 시, 군들에서 현대적인 미래원을 일떠세우기 위한 사업을 활발히 벌리고 있다"고 보도했다고 합니다. 미래원이라는 용어는 지난 2월 처음 등장했습니다. 지난 2월 10일 로동신문은 창성군에서 도서관을 새로 개건했으며 김정은이 도서관 명칭을 창성군미래원으로 부르도록 지시했다고 보도했습니다. 2층으로 된 미래원은 전자열람실, 원격강의실, 다매체열람실, 학생열람실 등으로 만들어졌다고 합니다. (2014-02-02) 북한 전자도서관 새이름 '미래원'? http://wingofwolf.tistory.com/57.. 더보기 우리민족끼리 구글플러스 활용 선전 강화...게시물만 400건 (2014-05-06) 우리민족끼리 구글플러스 활용 선전 강화...게시물만 400건 북한의 대남선전매체 우리민족끼리가 구글의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구글플러스를 통한 선전 강화에 나섰습니다. 우리민족끼리는 지난 2월 유튜브와 연동해 구글플러스 사용을 시작한 후 400건이 넘는 게시물을 올렸다고 합니다. 사진1, 2는 북한 우리민족끼리가 유튜브와 연동해 놓은 구글플러스 계정 모습입니다. 78명이 이 내용을 받아보고 있으며 방문건수는 1871건입니다. 구글플러스는 구글이 지난 2011년부터 제공하고 있는 SNS 서비스입니다. 우리민족끼리는 2월 26일 우리 어버이라는 선전 영상을 게재하면서 구글플러스 사용을 시작했습니다. 이후 2월에 9개의 영상을 올렸습니다. 3월에는 144개나 되는 영상을 올렸고 4월.. 더보기 북한 포사격 확인 IT시스템 개발? (2014-04-30) 북한 포사격 확인 IT시스템 개발? 북한 김정은이 최근 포사격을 현지 지도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이 과정에서 북한이 포사격 확인 IT시스템이 사용된 것으로 보입니다. 대북 소식통에 따르면 김정은은 4월 24일 851군부대관하 여성방사포병구분대 포사격훈련을 지도했습니다. 이어서 4월 26일에는 681군부대관하 포병구분대 포사격훈련을 지도했다고 합니다. 26일 훈련에서 김정은은 준비가 안됐다며 질책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이후 4월 27일 김정은은 다시 서남해상의 주요 대상물 타격임무를 맡고있는 장거리포병구분대 포사격훈련을 지도했다고 합니다. 사진1, 2는 27일 김정은이 현지 지도한 포병부대의 훈련 모습입니다. 일반적이 모습과 다르지 않습니다. 사진3은 26일 훈련 지도 모습으로 1.. 더보기 북한 "전자도서 널리 이용" (2014-04-28) 북한 "전자도서 널리 이용" 북한이 전자책을 널리 이용하고 있다고 주장하고 이를 더 활성화해야한다고 밝혔습니다. 대북 소식통에 따르면 북한 로동신문은 4월 27일 '전자도서와 그 리용'이라는 기사를 게재했습니다. 로동신문은 "전자도서의 출현이 인간의 생활에 참으로 많은 도움을 주고 있다"며 "전자도서란 한마디로 사람들이 컴퓨터를 비롯한 정보기술수단을 이용해 읽을 수 있게 만든 도서"라고 설명했습니다. 로동신문은 전자도서의 전자 본문이 여러 가지 파일 형식으로 만들어지며 일반적으로 많이 이용되는 것이 책의 형태를 그대로 본딴 PDF파일형식이라고 밝혔습니다. 또 열람 프로그램 없이 볼수 있는 EXE파일형식도 있으며 전자도서 '삼흥' 조선말대사전이 EXE 파일 형태로 만들어졌다고 설명했.. 더보기 이전 1 ··· 31 32 33 34 35 36 37 ··· 5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