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09-17) 한국 정부, 북한 5차핵실험에 비상대비태세 유지
한국 정부가 9월 9일 북한의 5차 핵실험 이후 비상대비태세를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정부 관계자들에 따르면 정부 각 부처들은 자신들의 상황에 따라 대비태세를 시행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사진1>
사진1은 행정자치부의 비상대비태세 관련 내용입니다.
행정자치부는 북한 5차 핵실험과 관련해 장관 지시사항으로 행자부와 산하 기관들에 비상대비태세를 유지하도록 했다고 합니다.
대비태세 내용은 국가중요시설 및 정부청사에 대한 경계, 경비, 출입통제 강화와 북한의 사이버테러에 대한 대비 철저, 유사시 즉시 응소할 수 있도록 비상연락망 최신화 및 비상근무태세 확립, 상황보고체계 및 유관기관과 협조체계 유지 등입니다.
<사진2>
사진2는 기획재정부의 비상대비 지침 내용입니다.
기재부는 국민안전처 비상대비기획과-3366(2016.9.9.)호와 관련해 비상대비태세를 유지한다고 합니다.
<사진3>
사진3은 보건복지부의 비상대비태세 내용입니다.
보건복지부 역시 국민안전처 비상대비기획과-3366(2016.9.9)호에 따라 비상대비태세를 유지한다고 합니다.
<사진4>
사진4는 국민안전처의 북한 5차 핵실험에 따른 비상대비지침입니다.
국민안전처는 초동조치를 위한 상황실 편성, 운영을 요구하고 있습니다.
또 청사, 소산시설 등 공공시설 방호태세를 확인하고 국가기반시설 및 중요시설 방호실태에 대한 전면 점검 실시, 전 직원 비상연락망 현행화 및 비상연락체계 유지, 비상연락 통신망 송수신 상태 점검 등을 지적하고 있습니다.
이와 함께 국민안전처는 민방위대원 동원을 위한 비상연락체계를 유지하고 민방위 경보통제소 비상근무 강화, 화생방전 등 대비 각종 장비 점검 및 구조대원 출동태세 강화 등도 주문하고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국민안전처는 각 기관들이 계획에 따라 자체 세부계획을 수립해 추진하도록 요청하고 있습니다.
이전기사
2016/07/17 - 국민안전처, 북한 핵 공격 대비 충무계획 변경 추진
2016/02/15 - 한국 정부, 북한 미사일 비상대비지침 시행 중
'통일'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원자력통제기술원, 북한 원전 단지 건설 방안 연구 (0) | 2016.10.29 |
---|---|
10월 21일 북한인권 국제영화제 개막 (0) | 2016.10.14 |
통준위, 북핵문제 진전 시 남북 경협 방안 준비 (0) | 2016.09.04 |
통일부, 개인정보 관리 실태 점검 (0) | 2016.09.02 |
통준위, 싸드 외교적 대응방안 연구 (0) | 2016.08.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