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10월 22일 5회 북한인권 국제영화제 개막 (2015-10-14) 10월 22일 5회 북한인권 국제영화제 개막 10월 22일 5회 북한인권 국제영화제가 개막한다고 합니다. 북한인권 국제영화제 포스터 모습 북한민주화네트워크는 소망교회, 주한독일문화원, 행정자치부의 후원을 받아 10월 22일 오후 6시30분 서울역사박물관에서 북한인권 국제영화제 개막식을 개최한다고 합니다. 개막식에서는 박진순 감독의 영화 설지가 상영될 예정입니다. 이어 10월 23일, 24일에는 충무로 대한극장에서 실제 영화제가 개최된다고 합니다. 영화제에는 한국, 독일, 영국, 실가포르, 일본 등의 통일, 인권관련 영화가 상영됩니다. 이번 영화제에 관한 자세한 사항은 북한민주화네트워크 홈페이지(http://www.nknet.org)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강진규 wingofwol.. 더보기
북한 은행의 모습은? (2015-10-12) 북한 은행의 모습은? 대한민국에서 경제활동을 하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은행에 가게 됩니다. 금융자동화기기와 은행 창구의 모습은 우리에게 이제는 익숙해졌습니다. 그렇다면 과연 북한 은행의 모습은 어떨까요? 북한 은행에는 김일성, 김정일 사진이 걸려있고 북한 당국의 선전 구호가 눈에 띈다고 합니다. 싱가포르의 사진작가 알람 판(Aram Pan)씨는 최근 북한 황금의삼각주은행의 3차원 사진을 공개했습니다. 사진1은 황금의삼각주은행의 전경 모습입니다. 이 은행은 북한 라선경제 특구에 설치된 은행입니다. 북한 국내외 무역상을 위한 금융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은행 내부 모습은 어떨까요? 사진2는 황금의삼각주은행 내부 모습입니다. 은행원과 고객 사이에 유리벽이 있습.. 더보기
북한 2016년 4월 10일 평양 마라톤 대회 개최 (2015-10-12) 북한 2016년 4월 10일 평양 마라톤 대회 개최 북한이 내년 4월 10일 평양 국제 마라톤 대회를 개최한다고 합니다. 중국의 북한 전문여행사 고려투어는 홈페이지를 통해 최근 이같은 사실을 밝혔습니다. 북한은 4월 10일 평양에 위치한 김일성 경기장에서 마라톤 대회를 열 것이라고 합니다. 10킬로미터 거리를 달리는 경기입니다. 고려투어 홈페이지의 2016 평양 마로톤 대회 소식 북한은 평양 마라톤 대회를 외국인 관광객 유치를 위해 매년 개최하고 있다고 합니다. 평양시내를 달리며 직접 평양을 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는 것입니다. 이에 맞춰 고려투어도 마라톤 관련 관광 상품을 판매 중이라고 합니다. 이전기사 2014/10/20 - 2015년 4월 12일 평양국제마라톤 대회 개최 .. 더보기
북한 차량 운행 지원 시스템 개발 (2015-10-07) 북한 차량 운행 지원 시스템 개발 북한이 차량 운행 상황을 감지해 알려주는 시스템을 개발했다고 합니다. 대북 소식통에 따르면 북한 로동신문은 10월 6일 대성지도국 대성정보기술사에서 자동차 운행에서 직면할 수 있는 여러 정황들을포착하고 운전자에게 통보해주는 종합시스템을 개발했다고 보도했습니다. 이 시스템은 뒤방향감시, 전조등감시, 주의표식 등 자동차운행 중 발생하는 정황들을 포착하고 즉시 운전사에게 통보해주는 기능을 한다고 합니다. 이 시스템은 자동차 전면, 후면 등에 센서, 카메라 등을 장착한 후 이를 통해 수집하는 정보를 운전자에게 알려주는 방식인 것으로 추정됩니다. 북한 11차 평양가을철국제상품전람회에서 소개된 자동차 모습 북한 11차 평양가을철국제상품전람회에서 소개된 자동차.. 더보기
10월 13일 2015 세계 북한학 학술대회 개최 (2015-10-05) 10월 13일 2015 세계 북한학 학술대회 개최 통일부와 북한연구학회가 10월 13일과 14일 서울 숭실대학교에서 '2015 세계 북한학 학술대회'를 개최한다고 합니다. 2015 세계 북한학 학술대회 홈페이지 모습 이번 행사는 '오늘의 북한학, 한반도 통일을 말하다'를 주제로 정치, 사회, 경제, 복지, 과학 외교 등 다양한 분야의 북한 관련 내용이 소개된다고 합니다. 2015 세계 북한학 학술대회 프로그램 또 부대 행사로 북한 음식 체험, 북한 애니메이션 상영, 북한 우표 및 미술 전시회 등도 열린다고 합니다. 이 행사에는 국내 북한 관련 전문가들은 물론 미국, 중국, 일본, 유럽, 동남아 등 해외 북한 전문가들이 참석해 북한의 최근 실상을 알려주고 향후 전망을 소개할 예정이라..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