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국 통일준비에 맞서 북한 고려연방제 부활 추진 (2015-11-05) 한국 통일준비에 맞서 북한 고려연방제 부활 추진 지난해 박근혜 대통령이 통일대박론을 제시하며 한국 사회에서 통일준비에 관한 논의가 활발합니다. 이런 상황에서 북한이 최근 고려연방제통일방안 띄우기에 나섰다고 합니다. 남북 통일에 대해 한국이 주도권을 쥐는 것을 우려한 북한이 대응 카드로 고려연방제를 언급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대북 소식통에 따르면 최근 몇달 동안 북한 주요 매체들이 고려연방제를 언급하기 시작했다고 합니다. 10월 10일 북한의 대남선전매체 우리민족끼리는 김일성이 제시한 고려민주련방공화국창립방안이 남북통일에 있어 가장 공명정대한 방안이라고 주장했습니다. 고려연방제는 김일성, 김정일 시대 북한이 지속적으로 주장한 통일 방안입니다. 남과 북이 하나의 연방국가를 형성하지만 .. 더보기
10월 완공 과학기술전당은 북한 과학기술 허브 (2015-11-03) 10월 완공 과학기술전당은 북한 과학기술 허브 지난 10월 북한 평양 쑥섬에 과학기술전당이 완공됐습니다. 김정은이 직접 방문한 과학기술전당에 대해 북한은 전시장과 시설을 자랑했습니다. 그런데 실제로 중요한 역할은 북한 과학기술 데이터베이스(DB) 허브 역할이라고 합니다. 북한은 김정은의 지시로 쑥섬에 사진1과 같이 과학기술전당을 건설했습니다. 이전기사 2015/03/01 - 북한, 평양 쑥섬에 대형 데이터센터 구축 2015/06/11 - 북한 과학기술 통합 DB 구축 중 2015/09/16 - 북한 과학기술전당 개관 임박 김정은은 10월말 직접 과학기술전당을 방문했습니다. 과학기술전당을 방문한 김정은 모습 북한 로동신문 등은 과학기술전당에 기초과학기술관, 응용과학기술관, 지진체험실.. 더보기
북한 "국정화 반대 지령설은 모략" (2015-10-31) 북한 "국정화 반대 지령설은 모략" 역사 교과서를 국정화하는 문제를 놓고 대한민국에서 논쟁이 벌어지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국정화에 반대하라는 지침을 북한이 친북 단체에 전달했다는 주장이 나와 혼란이 가중되고 있습니다. 그런데 북한은 이런 주장이 모략이라며 이를 보도한 문화일보에 대가를 치르게 하겠다고 주장하고 나섰습니다. 대북 소식통에 따르면 북한의 대남선전매체 우리민족끼리는 10월 29일 보도를 통해 "지난 28일 문화일보가 무슨 소식통을 거론하며 우리가 그 누구에게 정부의 역사교과서 국정화 방침에 대한 반대투쟁과 선동전을 전개하라는 지령문을 보냈다고 떠들어댔다"며 "이는 보수패당의 시녀, 거짓과 날조에 이골이 난 보수 매문지의 본색을 여지없이 드러낸 황당무계한 모략나발질이다"라.. 더보기
북한 "원격교육대학 첫 졸업생 배출" (2015-10-29) 북한 "원격교육대학 첫 졸업생 배출" 북한에서 원격교육대학 첫 졸업생이 배출됐다고 합니다. 대북 소식통에 따르면 10월 28일 조선중앙통신은 김책공업종합대학 원격교육대학이 28일 졸업식을 개최해 첫 졸업생들이 나왔다고 보도했습니다. 조선중앙통신은 원격교육대학에 대해 누구나 다 일하면서 해당 대학에 등교하지 않고도 현지에서 원격강의를 받으며 배울 수 있는 사회교육기지라고 소개했습니다. 보도에 따르면 2010년 황해제철련합기업소의 40명 제대군인 노동자들을 대상으로 처음 시작된 원격교육은 현재 북한 1700여개 기업, 기관에서 이뤄지고 있다고 합니다. 북한에서 원격교육대학 졸업생이 나왔다는 것은 원격교육이 정착되고 있다는 뜻으로 해석됩니다. 이벤트성으로 교육을 한 것이 아니라 실제 교.. 더보기
북한 통합형학습지원시스템 개발 (2015-10-29) 북한 통합형학습지원시스템 개발 대북 소식통에 따르면 10월 28일 북한 조선중앙통신은 천명기술개발교류사에서 차세대 통합형학습지원체계인 천명학습기를 개발해 인기를 끌고 있다고 보도했습니다. 조선중앙통신은 천명학습기가 임의의 시간과 장소에서 필요한 학습을 통해 지식습득의 효과성을 높여줄 수 있게 하는 응용프로그램이라고 소개했습니다. 천명학습기는 스마트폰, 태블릿PC에 설치해 사용하는 앱 형태라고 합니다. 조선중앙통신은 PC에서 이용하던 파일자료를 사용자가 마음대로 학습기에 넣었다 꺼냈다 하면서 학습할 수 있으며 필요한 교재자료를 복사하거나 만들어 넣을 수 있고 일반문서 열람기나 다매체 열람기를 이용할 때에 비해 수십배의 능률을 낼 수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또 사전이 포함돼 있어 다른 ..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