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북한 김정은이 디자인한 식기에 일본 헬로키티가? (2015-04-26) 북한 김정은이 디자인한 식기에 일본 헬로키티가? 북한이 김정은이 유아, 청소년들을 위해 식기 등을 직접 디자인했다고 선전하고 나섰습니다. 그런데 김정은이 디자인했다고 주장한 식기에는 일본 헬로키티 캐릭터가 들어가 있습니다. 북한이 무리한 선전을 하다가 발생한 헤프닝이거나 북한 김정은이 헬로키티 마니아인 것으로 보입니다. 대북소식통에 따르면 북한은 4월 10일 국가산업미술전시회를 개최했다고 합니다. 그런데 여기에는 김정은이 디자인, 지도한 디자인들이 출품됐다고 합니다. 조선중앙방송은 최근 산업미술전시회에 관한 홍보영상을 제작해 방송했다고 합니다. 사진1은 조선중앙방송의 산업미술전시회 선전 영상의 일부입니다. 사진을 보면 김정은이 유아, 청소년 등을 위해 집기류 도안을 지도했다는 내용.. 더보기
환경부, 남북 환경 협력 방안연구 (2015-04-25) 환경부, 남북 환경 협력 방안연구 환경부가 통일에 대비해 남북 환경 협력 방안을 연구한다고 합니다. 또 환경부는 통일 한반도 환경보전 기본전략 수립도 추진할 방침입니다. 정부 관계자들에 따르면 환경부는 5월부터 9개월 동안 '통일대비 북한의 환경문제 진단 및 환경개선을 위한 남북협력방안 연구'를 진행한다고 합니다. 이번 연구는 북한 환경 실태를 파악하고 남북한 환경 분야 협력 그리고 나아가 통일 한반도 환경보전을 위한 것이라고 합니다. 환경부는 연구를 통해 북한 환경실태 분석 및 북한지역 환경질 측정 협력방안을 분석할 예정입니다. 북한내부 통계자료, 북한환경에 관한 선행연구보고서, 국제공적개발기구의 북한관련 보고서 등)을 검토하고 새터민 등에 대한 인터뷰도 진행합니다. 이를 통해 .. 더보기
북한 "분산형조종체계 20대 개발자들이 개발" (2015-04-24) 북한 "분산형조종체계 20대 개발자들이 개발" 북한이 최근 산업 정보화에 사용되는 분산형조종체계를 자체개발했다고 밝혔습니다. 그런데 북한은 이 시스템을 20대 젊은 IT개발자들이 개발한 것이라고 자랑했습니다. 대북소식통에 따르면 북한의 대외 선전매체 조선의오늘은 4월 23일 최근 북한 과학자들이 인민경제의 현대화, 정보화실현에 이바지하는 의의가 큰 첨단과학연구성과를 이룩했다고 보도했습니다. 조선의오늘은 국가과학원 공업정보연구소 과학자들이 분산형조종체계를 독자적으로 개발했다고 주장했습니다. 분산형조종체계 개발자들 모습 북한은 분산형조종체계가 변화되는 현장조건들에 보다 유연하게 대처할 목적으로부터 세계적으로 1990년대부터 개발도입되기 시작한 생산공정조종을 실현하는 수단이라고 설명했습.. 더보기
북한 30차 중앙과학기술축전 개막 (2015-04-23) 북한 30차 중앙과학기술축전 개막 최근 북한이 과학기술을 강조하고 있는 가운데 30차 중앙과학기술축전이 개막했다고 합니다. 대북소식통에 따르면 로동신문은 4월 23일 보도를 통해 22일 3대혁명전시관에서 제30차 중앙과학기술축전이 개막됐다고 보도했습니다. 30차 중앙과학기술축전 모습 로동신문은 이번 축전이 농업, 경공업, 수산 및 생물, 기초과학, 에너지, CNC, 정보, 건설, 국토환경보호, 의학 등 20여개 분과로 나뉘여 진행된다고 설명했습니다. 이번 축전에는 북한 기관들과 대학, 각 도(직할시) 등에서 310여개 팀이 참여했다고 합니다. 개막식에는 최태복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비서, 김용진 내각부총리, 최상건 국가과학기술위원회 위원장, 김승두 교육위원회 위원장, 장철 국가과학.. 더보기
통일부 남북회담 홈페이지 개편 (2015-04-22) 통일부, 남북회담 홈페이지 개편 통일부가 남북회담 홈페이지(dialogue.unikorea.go.kr)를 5월부터 8월까지 개편한다고 합니다. 통일부는 1999년 남북회담 정보를 제공하는 홈페이지를 개설해 운영하고 있습니다. 남북회담 홈페이지 정부 관계자들에 따르면 통일부는 정부3.0 패러다임에 맞춰 정보의 개방, 공유 등 사용자 중심의 서비 스를 제공하고 스마트폰 등 새로운 접속 수단에 대처하기 위해 개편을 추진한다고 합니다. 통일부는 우선 다음달 기존 시스템을 분석하고 데이터 등을 백업할 것이라고 합니다. 또 정보공개 및 공공데이터 개방, 다양한 형태(xls, open API 등)의 데이터 제공, 외부연계기능 구현, 통합검색기능 추가, 통계기능 강화를 추진한다고 합니다. 이와 ..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