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북한 차세대 소형 원자로 연구자료 입수...러 핵잠수함 적용 기술 (2014-12-25) 북한 차세대 소형 원자로 연구자료 입수...러 핵잠수함 적용 기술 북한이 차세대 소형 원자로 기술을 연구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이 기술은 러시아가 핵잠수함에 적용한 것으로 북한이 어떤 목적으로 이런 연구를 하고 있는지 확인이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본 기자는 북한 과학자들이 연구한 '소형원자로의 합리적인 랭매선택과 구조물질들의 상태방정식에 대한 연구' 논문을 입수했습니다. 연구논문 모습 북한 과학자들은 원자로의 냉매가 원자로의 목적과 사명, 형태에 따라 여러가지로 선택되는데 소형원자로의 냉매로 어떤 물질이 이용되는지 밝혀졌지만 그것이 왜 합리적인지는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고 주장했습니다. 과학자들은 소형원자로에 합리적인 냉매를 선택하고 그것의 물리화학적 및 열력학적특성들을.. 더보기
북한 산림 복원 위한 'DMZ 미래준비의 숲' 사업 추진 (2014-12-25) 북한 산림 복원 위한 'DMZ 미래준비의 숲' 사업 추진 북한의 황폐한 산림복원을 위한 DMZ 미래준비의 숲 사업이 추진됩니다. 북부지방산림청, 생명의 숲 국민운동, 유한킴벌리는 지난 22일 DMZ 미래준비의 숲 사업 추진을 위한 협약을 체결했다고 합니다. 협약 내용은 사진1과 같습니다. 우선 북부청, 생명의 숲, 유한킴벌리는 북한지역의 황폐한 산림과 DMZ 주변 황폐지 복원을 위한 묘목 공급용 양묘장 운영 및 지속가능한 숲 관리 지원사업을 공동으로 추진하고 이를 위해 상호 협력하기로 했습니다. 이를 위해 함께 양묘장 시설, 묘목생산, 수종선정, 양묘기술 및 숲관리 기술 등을 개발하고 북한 및 DMZ 일원 황폐산림 복원용 묘목생산, 조림, 숲가꾸기 지원 활동을 합니다. 또 대북지원.. 더보기
북한 웹취약점 확인도구 이용...사이트에는 공격대비 함정 구축 (2014-12-22) 북한 웹취약점 확인도구 이용...사이트에는 공격대비 함정 구축 북한이 상용 웹 취약점 스캐너인 acunetix를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또 북한은 캐나다 대학, IBM 등의 연구 자료를 바탕으로 보안에 대한 기술을 습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북한은 웹 취약점 공격을 막기 위해 취약점을 확인하려고 할 경우 상대방을 인터넷주소(IP)를 확인할 수 있는 '함정'까지 만들어 놓은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본 기자는 북한의 IT 보안 실태를 확인할 수 있는 자료를 입수했습니다. 이 자료는 2014년 9월 발행된 김일성종합대학학보입니다. 여기는 IT보안을 비롯한 북한 IT와 이공계 분야 연구 자료를 수록하고 있습니다. 김일성종합대학학보 '웨브봉사기에 대한 자동화된 요청을 차단하.. 더보기
북한 사이트 '조선의오늘' 핀터레스트에 유튜브까지 (2014-12-21) 북한 사이트 '조선의오늘' 핀터레스트에 유튜브까지 북한이 최근 선보인 선전 사이트 '조선의 오늘'이 전방위 선전 공세에 나섰습니다. 페이스북, 트위터는 물론 핀터레스트, 유튜브, 플리커, 구글프러스까지 연계 사이트를 최근 구축했습니다. 대북 소식통에 따르며 최근 조선의 오늘을 운영하는 평양모란봉편집사가 동시에 선전 창구를 확장했다고 합니다. 사진1은 조선의 오늘 홈페이지 소스코드입니다. 붉은 박스를 보면 트위터, 페이스북, 유튜브, 구글플러스, 핀터레스트, 플리커 내용이 보입니다. 조선의 오늘 트위터 모습 조선의 오늘 페이스북 모습 조선의 오늘 유튜브 모습 조선의 오늘 구글플러스 모습 조선의 오늘 핀터레스트 모습 조선의 오늘 플리커 모습 사진2~7을 보면 북한이 실제로 SNS와 블.. 더보기
북한 "스탠포드대학교와 소립자 우주론 연구" (2014-12-20) 북한 "스탠포드대학교와 소립자 우주론 연구" 북한이 독일 뮌헨대학교, 미국 스탠포드대학교 등의 학자들과 공동으로 소립자 우주론에 대한 연구를 진행했다고 주장했습니다. 대북 소식통에 따르면 북한은 지난 12월 10일 김일성종합대학에서 우주과학기술토론회를 개최했다고 합니다. 북한은 이날 행사에서 소립자 우주론분야의 연구성과를 발표했다고 합니다. 이전 기사 2014/12/14 - 북한이 발표한 위성 논문은? 북한은 김일성종합대학 물리학부 연구원들이 독일 뮌헨대학교, 미국 스탠포드대학교 등의 연구원들과 공동으로 소립자 우주론과 중력이론을 기초이론적으로 발전 완성시키는데서 제기되는 미해명 문제들을 연구해 성과를 거뒀다고 주장했습니다. 북한은 우주의 가속팽창, 암흑물질, 초기우주의 특성 등에..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