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북한 "1300곳에 CNC 적용" (2014-11-22) 북한 "1300곳에 CNC 적용" 북한이 정보화 사업을 추진해 컴퓨터수치제어(CNC)를 1300곳에 적용했다고 주장했습니다. 대북 소식통에 따르면 11월 21일 북한 로동신문은 '1300여개 대상의 CNC화, 현대화 실현'이라는 기사를 게재했습니다. 로동신문은 "김정일의 유훈 관철에 온 나라 인민이 산악같이 떨쳐나선 결과 금속, 기계, 전력 등 나라의 공업부문에서 주요 생산공정의 CNC화 비중이 비할바 없이 높아졌으며 많은 단위들에서 전반생산공정에 대한 통합생산지휘체계를 확립해 생산의 과학화수준이 훨씬 높아졌다"고 주장했습니다. 로동신문은 최근 연간 전국적으로 1300여개 대상의 CNC화를 시행했다고 설명했습니다. 북한은 CNC 확산이 김정은의 뜻이라고 지적했습니다. 로동신문은 김.. 더보기
북한 "올해 인민대학습당에 4만명 이상 과학교육" (2014-11-17) 북한 "올해 인민대학습당에 4만명 이상 과학교육" 대북소식통에 따르면 지난 11월 15일 북한 조선중앙통신은 조선로동당의 전민과학기술인재화방침에 따라 인민대학습당에서 올해 4만 2700여명에게 과학교육을 실시했다고 보도했습니다. 조선중앙통신은 학습당에서 정보산업시대, 지식경제시대의 요구에 맞게 과학기술지식보급을 위한 강의를 하고 있다며 사회과학 및 과학기술강의, 새 기술통보강의, 과학이론 강연 등이 진행됐다고 설명했습니다. 또 가치있는 과학기술자료들과 여러 분야의 전문지식을 보급하기 위한 요청강의, 집중강습, 재교육강습 등에 근로자와 학생들이 참여했다고 밝혔습니다. 최근 버섯생산의 발전추세와 자연에너지개발이용의 발전동향, 새로운 전기절약기술 등에 대한 과학이론강연과 과학기술강의들이.. 더보기
북한 "컴퓨터 단층촬영(CT) 장치 자체개발" (2014-11-16) 북한 "컴퓨터 단층촬영(CT) 장치 자체개발" 북한이 첨단의료기기인 컴퓨터 단층촬영(CT) 장치를 자체개발했다고 주장했습니다. 대북소식통에 따르면 북한 로동신문은 지난 11월 13일 올해 김책공업종합대학 전자공학부에서 CT와 디지털pH계, 불빛어로용대출력 LED 집어등을 개발했다고 보도했습니다. 로동신문은 일반적으로 CT라고 할 때 그것은 수많은 최첨단과학 기술적 문제들을 해결해야만 그 개발이 가능한것으로 알려져 있는 첨단의료설비라고 설명했습니다. 또 로동신문은 국제 시장에서 엄청난 가격으로 거래되고 있는 이런 값비싼 첨단의료설비를 10여명의 연구집단이 얼마 안 되는 원가를 들여 개발했다는 것이 놀랍다고 주장했습니다. 특히 북한은 CT개발이 불과 1년 사이에 이룩된 것이라고 자랑했.. 더보기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북한과 과학기술 협력 방안 준비 (2014-11-16)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북한과 과학기술 협력 방안 준비 과학기술 분야 대통령 자문기구인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가 북한과의 과학기술 협력 방안을 마련해 대통령에게 보고할 것이라고 합니다. 정부 관계자들에 따르면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는 오는 12월부터 내년 3월까지 '북한의 과학기술 현황 분석을 통한 협력 이슈 발굴 연구'를 진행한다고 합니다. 이는 북한의 과학기술 현황과 최근 동향 분석을 통해 협력 이슈를 발굴하고 협력이 실제로 이행될 수 있는 전략 및 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것이라고 합니다.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는 이 내용을 박근혜 대통령에게 보고할 것으로 알려지고 있습니다. 3개월간 연구용역을 통해 자문회의는 북한의 과학기술 체제 개편 동향과 김정은 출범 후의 과학기술 정책과 주요과제 추진.. 더보기
정부 파악 북한 관련 정보사이트 161개 (2014-11-15) 정부 파악 북한 관련 정보사이트 161개 최근 그 어느 때보다 북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북한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사이트들도 많습니다. 과연 북한 정보를 제공하는 사이트들은 몇개나 될까요? 통계청은 북한통계 홈페이지를 운영하며 북한 관련 정보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통계청은 정보 제공을 위해 북한 관련 사이트를 점검하고 있다고 합니다. 사진1은 통계청이 올해 3분기 북한 관련 사이트를 조사한 내용입니다. 통계청이 파악하고 있는 북한 정보 제공 사이트는 161개라고 합니다. 이중 121개가 국내 사이트이며 40개가 해외 사이트라고 합니다. 사진2를 보면 좀 더 자세한 내용을 알 수 있습니다. 정부기관의 북한 관련 사이트가 29개, 연구기관 사이트가 26개, 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