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북한 "랜섬웨어 북한 배후설은 괴뢰언론의 추태" (2017-05-20) 북한 "랜섬웨어 북한 배후설은 괴뢰언론의 추태" 지난 5월 12일 전 세계를 강타한 워너크라이 랜섬웨어 공격에 대해 북한이 비난하고 나섰습니다. 북한은 북한 배후설이 괴뢰 보수언론의 추태라고 비난하고 징벌할 수 있다고 협박했습니다. 대북 소식통에 따르면 북한 대남선전매체 우리민족끼리는 5월 20일 최근 남한에서 남북 관계 개선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커가고 있는 것에 불안을 느낀 보수언론들이 모략소동에 열을 올리고 있다고 보도했습니다. 우리민족끼리는 "세계 여러 나라들에 막대한 피해와 혼란을 가져다주고 있는 랜섬웨어 공격 사태에 북한이 연계돼 있을 수 있다는 북한 배후설을 떠들어대고 있는 괴뢰 보수언론들의 추태도 그중의 하나"라고 비난했습니다. 우리민족끼리는 한국의 연합뉴스, 서울경제.. 더보기
북한 "홍채 인식으로 질병 진단 시스템 개발" (2017-05-09) 북한 "홍채 인식으로 질병 진단 시스템 개발" 북한이 홍채 인식 기술을 의료 부문에 이용해 각종 질병을 예측, 진단하는 시스템을 개발했다고 합니다. 대북 소식통에 따르면 최근 우리민족끼리, 조선의오늘 등은 제32차 전국과학기술축전 성과를 소개하는 영상을 제작해 유튜브 등에 게재했다고 합니다. 지난 4월초 북한은 평양 과학기술전당에서 제32차 전국과학기술축전을 개최한 바 있습니다. 영상에는 북한이 개발한 다양한 기술들이 소개됐습니다. 그중 홍채 인식에 관한 것이 있습니다. 북한 연구원들은 사람이 질병에 걸릴 경우 그 징후가 홍채에 나타난다고 주장했습니다. 이에 홍채 인식으로 질병을 예측하고 진단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사진1, 2는 시스템 모습입니다. 북한은 영상에서 홍채 인식으로 .. 더보기
SW 품질 개선 방안 찾는 북한 (2017-05-07) SW 품질 개선 방안 찾는 북한 북한 6단계->4단계로 단축한 SPI 마련 북한이 소프트웨어(SW) 개발 프로세스를 연구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북한 연구원들은 SW 개발 프로세스를 6단계에서 4단계로 단축한 모델을 제시했습니다. 이는 SW 개발 시 품질을 높이고 더 빠르고 효율적으로 진행하기 위한 노력으로 해석됩니다. 북한이 SW 개발 프로세스에 대해서 연구하는 것은 그만큼 SW 분야에 관심이 많으며 실제로 SW 개발이 많이 진행되기 있기 때문인 것으로 보입니다. 대북 소식통에 따르면 북한 김일성종합대학이 발행한 학보 63권 1호에 '소규모의 쏘프트웨어개발 단위들에서 공정개선을 위한 한 가지 방법'이라는 논문이 수록됐다고 합니다. 사진1은 논문 내용입니다. 연구원들은 오늘.. 더보기
국토부 '남북 자원-인프라 복합 개발 모델' 구상 (2017-05-07) 국토부 '남북 자원-인프라 복합 개발 모델' 구상 국토교통부가 북한의 지하자원과 인프라를 연계해 개발하는 협력 사업을 구상 중인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정부 관계자들에 따르면 국토부는 최근 '남북 인프라-자원 패키지 협력 사업 추진 방안 연구'를 추진한다고 공고를 냈다고 합니다. 사진1은 공고된 내용입니다. 국토부는 북한의 낙후된 인프라 개보수 사업 비용을 충당할 수 있도록 인프라와 자원 패키지형 개발 협력을 추진해 비용 절감하겠다는 방침입니다. 지하자원과 인프라의 패키지형 복합개발로 남북한 모두에게 경제적 이익이 되도록 하는 협력 모델을 만들겠다는 것입니다. 가령 북한의 광산 개발과 광산 주변 발전 시설 및 교통 인프라 구축을 패키지로 구성해 자원개발권 또는 광물 자원으로 인프라 .. 더보기
북한, 미국 에스리 GIS로 시스템 구축? (2017-05-05) 북한, 미국 에스리 GIS로 시스템 구축? 북한이 미국 에스리(ESRI)사가 만든 지리정보시스템(GIS) 소프트웨어(SW)를 사용하는 정황이 포착됐습니다. 대북 소식통에 따르면 최근 김일성종합대학이 발행한 김일성종합대학학보 63권 3호에는 '조선 전자지명 사전의 행정지명 시공간 자료기지 구축방법'이라는 논문이 수록됐다고 합니다. 그런데 바로 이 논문에 에스리의 ArcGIS에 대한 내용이 담겼다고 합니다. 미국 GIS 솔루션 업체 에스리 홈페이지 모습 사진2는 논문 내용입니다. 논문은 행정지명 자료에 대한 시공간적인 분석을 진행하고 대상지향적인 행정지명자료기지를 설계하고 실현하기 위한 방법을 제안한다고 나와있습니다. 논문에는 사진3과 같이 행정정보 관련 내용이 나와 있습니다. 그런데..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