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스마트폰 앱 개발 사업하는 북한 조평통 (2013-01-07) 스마트폰 앱 개발 사업하는 북한 조평통 북한 조국평화통일위원회는 `우리민족끼리' 등 대남 선전사이트 운영하며 대남 선전활동을 펼치고 있습니다. 그런데 조평통은 소프트웨어(SW) 개발을 통해 외화벌이를 하는 역할도 하고 있습니다. 1961년 결성된 조국평화통일위원회는 조선노동당 전위기구로 남북대화와 대남 및 해외동포 대상 선전활동을 펼치고 있습니다. 산하 조직인 륙일오편집사를 통해 인터넷 선전 매체 우리민족끼리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조선륙일오편집사 개발집단의 연구개발정형소개' 문건에 따르면 륙일오편집사는 IP전화개발조, 내장쏘프트웨어개발조, 장치개발조, 실시간3D동화상처리기술 및 응용개발조, 정보보안과 휴대기에서의 응용개발조로 구성돼 있으며 수 백 명의 개발자가 소속돼 있는 것으로.. 더보기
북한 전력선 이용 음성 전송시스템 개발 (2013-01-07) 북한 전력선 이용 음성전송 시스템 개발 북한이 첨단 IT 기술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그 나라의 과학기술을 아는 방법 중 하나는 특허를 확인하는 것입니다. 북한에는 대동강특허및상표대리소라는 특허 대행 업체가 있습니다. 이 업체는 1994년에 설립됐으며 평양 모란봉 구역에 위치하고 있다고 합니다. 이 업체가 공개한 자료에 따르면 북한은 각종 첨단 기술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북한 엔지니어들은 프린터 기기 모니터링 방법, 코드 판독과 알고리즘 체크 C언어 테스트 시스템, 전력선을 이용한 실시간 음성 전송 시스템 등을 개발해 특허를 냈다고 합니다. 프린터 기기 모니터링 방법은 보안을 위한 기술로 보입니다. 코드 판독과 알고리즘 체크 C언어 테스트 시스템은 SW 개.. 더보기
북한 IT 브랜드 '아침' (2013-01-06) 북한 IT 브랜드 '아침' IT 제품에는 브랜드가 있습니다. 소니의 PC 브랜드는 바이오(VAIO)이고 LG전자의 PC 브랜드는 엑스노트입니다. 삼성전자는 갤럭시 브랜드를 스마트폰과 태블릿PC에 사용하고 있습니다. 북한의 IT 제품에도 브랜드가 있습니다. 그중 유명한 것이 '아침'입니다. 1 사진1은 북한이 개발한 것으로 알려져 화제가 되고 있는 아침 태블릿 PC의 모습입니다. 지난 2002년 중국의 남경판다전자와 북한 전자공업성 산하 대동강계산기합영회사는 아침판다콤퓨터합영회사를 설립했으며 이 회사에서 태블릿PC를 생산하고 있습니다. 최근 아침판다콤퓨터합영회사가 생산하는 데스크톱PC 생산 공정이 공개됐는데 이 제품 역시 아침 브랜드 제품입니다. 사진2, 3, 4는 아침판다콤퓨터합영.. 더보기
북한 고려항공은 어디어디 가나? (2013-01-05) 북한 고려항공은 어디어디 가나? 한국에는 대한항공, 아시아나항공 등 여러 항공사들이 있습니다. 북한에는 고려항공이 국내외에서 비행기 노선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고려항공은 어떤 국가와 도시로 어떤 비행기를 이용해 운항을 하고 있을까요? 고려항공은 북한의 유일한 항공사로 1950년에 설립됐으나 6·25 전쟁 이후 취항이 중단됐다가 1954년 조선민항으로 재설립됐습니다. 1992년 10월 다시 현재의 이름으로 바뀌었으며 본사는 평양시 순안구역에 있고 허브 공항은 평양 순안 공항입니다. 관계자들에 따르면 고려항공은 1주일에 중국 10번, 러시아 5번, 동남아 3번, 국내 35번의 비행을 하고 있다고 합니다. 평양과 중국 베이징 노선은 1주일에 3번 왕복한다고 합니다. 또 평양-중.. 더보기
북한이 바라본 구글? 기업은 싫고 제품은 좋고 (2013-01-03) 북한이 바라본 구글? 기업은 싫고 제품은 선호 에릭 슈미트 구글 회장이 이르면 다음주 북한을 방문할 것으로 알려져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북한은 구글을 어떻게 바라보고 있을까요? 또 구글 제품을 사용하고 있을까요? 북한은 구글을 비판하기도 하고 구글을 자신들의 선전도구로도 활용하고 있습니다. 또 구글 크롬, 검색 서비스, 안드로이드 운영체제(OS) 등을 쓰고 있습니다. 북한 로동신문은 지난 2011년 6월 26일 '표면화되는 중미사이의 마찰'이라는 기사를 게재했습니다. 로동신문은 기사에서 '미국회사 구글이 자기 회사에 대한 대규모 사이버 공격의 배후에 중국이 있다고 발표함으로써 최근 시기에 중국과 미국 사이의 갈등이 또 다시 표면화되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로동신문은 '..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