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방통위, 남북 방송통신 교류협력 종합 발전 계획 준비 (2017-03-06) 방통위, 남북 방송통신 교류협력 종합 발전 계획 준비 방송통신위원회가 방통융합정책연구의 일환으로 통일에 대비한 남북 방송통신 교류협력 종합 발전 계획을 마련한다고 합니다. 정부 관계자들에 따르면 방통위는 최근 방통융합정책연구 과제를 추진한다는 공고를 냈습니다. 이 내용 중 '통일대비 남북 방송통신 교류협력 종합 발전 계획'이라는 것이 있습니다. 사진1은 연구 내용에 관한 것입니다. 방통위는 방송통신 미디어 환경변화와 북한의 방송통신 발전에 대응한 중장기 차원의 남한과 북한의 방송통신 교류협력 종합 발전 계획을 마련해야 한다는 필요성을 느껴 이번 연구를 추진한다고 합니다. 민족동질성 회복에 효과적인 남북 방송통신 분야 교류의 지속적 수행과 저변 확대를 위해 계획이 필요하다는 것입니다.. 더보기
북한 로동신문, 웨어러블(착용정보기구) 기술 소개 (2017-03-06) 북한 로동신문, 웨어러블(착용정보기구) 기술 소개 북한 로동신문이 스마트워치, 스마트글래스 등으로 대표되는 웨어러블 기술에 대해서 최근 소개했다고 합니다. 대북 소식통에 따르면 북한 로동신문은 3월 5일 최근 착용정보기구가 정보산업시대의 새로운 정보말단으로 등장하고 있다고 보고했습니다. 착용정보기구는 웨어러블 기기를 뜻합니다. 로동신문은 착용정보기구가 손목시계, 안경, 모자, 장갑 등과 같은 일상용품과 가락지, 팔찌, 머리빈침 등과 같은 장식품을 비롯해 몸에 지니고 다니는 착용품들에 여러 가지 정보수집, 통신 및 표시기능을 추가한 것이라고 소개했습니다. 로동신문은 휴대용 컴퓨터, 지능손전화기(스마트폰)와 같은 휴대용 정보기구가 임의의 장소에서 필요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어 사람들의.. 더보기
북한, 7월 외국인 대상 3주 한국어 과정 모집 (2017-03-03) 북한, 7월 외국인 대상 3주 한국어 과정 모집 북한이 오는 7월 외국인들을 대상으로 3주 집중 한국어 교육 과정을 개설한다고 합니다. 대북 소식통에 따르면 북한 여행을 전문으로 하는 해외 여행사 주체트레블서비스는 최근 한국어 교육 프로그램 여름과정을 모집한다고 밝혔습니다. 사진1은 주체여행사의 공지 내용입니다. 주체여행사는 2017년 7월 2일부터 24일까지 22일 간 한국어 언어 프로그램 집중 과정을 운영한다고 밝혔습니다. 이 과정에 참가하는 사람들은 김일성종합대학은 교수님들과 함께 3주간의 맞춤식 한국어 교육을 받게 되며 관광, 주말 여행 등도 할 수 있다고 합니다. 참가자들은 김일성종합대학 기숙사에서 생활하게 되며 매일 문화 활동, 관광 여행 및 주말 여행도 마련돼 있다고 .. 더보기
북한 김일성종합대학 5월 국제학술토론회 개최 (2017-03-03) 북한 김일성종합대학 5월 국제학술토론회 개최 북한 김일성종합대학이 5월 9일부터 10일까지 생태환경보호와 의학 및 농업의 발전을 주제로 국제학술토론회를 진행한다고 합니다. 김일성종합대학 모습 대북 소식통에 따르면 김일성종합대학은 최근 이같은 사실을 공지했다고 합니다. 이번 국제학술토론회는 생명과학, 의학, 산림과학, 생태환경보호, 농업 분야의 학자들이 모여 학술적 성과들을 교환하는 자리로 마련된다고 합니다. 북한은 토론회 참가여부를 3월 1일까지 접수받았으며 4월 20일까지 논문을 받을 예정이라고 합니다. 5월 행사에서 논문발표 시간은 15분이내이며 논문발표는 영어로 진행된다고 합니다. 토론회는 3개 분과로 진행된다고 합니다. 분과1은 의학 및 생명과학분과로 '인간의 복리증진과 의.. 더보기
통일부, 대북 지원 사업 전 과정 지원 정보시스템 구축 (2017-02-25) 통일부, 대북 지원 사업 전 과정 지원 정보시스템 구축 통일부가 북한 지원 사업 전 과정을 지원하는 시스템을 올해 안에 구축한다고 합니다. 정부 관계자들에 따르면 통일부는 최근 대북지원정보시스템 구축을 위한 용역을 공고했다고 합니다. 사진1은 공고 내용입니다. 제안요청서에서 통일부는 대북지원, 협력사업 전 과정에 대해 통합적, 체계적으로 관리, 지원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할 것이라고 합니다. 사업 간 중복 방지 및 연계, 성과 중심의 사업평가, 생산 및 수집 정보의 분석과 활용 등 대북지원사업의 효과성 및 전문성을 강화한다는 것입니다. 통일부는 새로운 시스템을 남북교류협력시스템 등과 연계해 원활한 대북 지원 사업 관리 및 업무효율성을 제고할 것이라고 합니다. 통일부는 세부적으로 ..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