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미국 NK뉴스 쇼핑 사업 시작 (2016-11-19) 미국 NK뉴스 쇼핑 사업 시작 미국의 북한 전문 매체인 NKnews(뉴스)가 쇼핑 사업을 시작했습니다. 사진1은 NK뉴스의 쇼핑몰 모습입니다. 사진2는 NK뉴스에서 판매하고 있는 상품들입니다. NK뉴스는 북한 관련된 티셔츠를 판매하고 있습니다. 또 사진3과 같이 2017년 북한 관련 달력(캘린더)도 판매하고 있습니다. 이외에도 해외언론 모니터링 서비스도 제공한다고 합니다. NK뉴스는 유료 뉴스를 제공하는 비지니스 모델을 유지했습니다. NK뉴스는 수익을 다각화 하기 위해 쇼핑 사업도 진행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NK뉴스 쇼핑몰https://shop.nknews.org/ 강진규 wingofwolf@gmail.com 더보기
북한 태양광유람선 운행 시작 (2016-11-06) 북한 태양광유람선 운행 시작 북한이 태양광을 동력으한 한 유람선을 대동강에서 운영하기 시작했다고 합니다. 대북 소식통에 따르면 11월 4일 북한 조선중앙통신은 평양의 대동강에서 태양빛전지유람선들인 옥류1호, 옥류2호, 옥류3호가 서비스를 시작했다고 보도 했습니다. 조선중앙통신은 이 유람선들은 령남배수리공장에서 건조했으며 태양빛에너지를 동력으로 움직인다고 설명했습니다. 이 배는 충전된 상태에서 8시간 정도 운행할 수 있으며 배수량은 45톤이라고 합니다. 속도는 6kn(노트)이며 승선인원은 50~60명이라고 합니다. 11월 6일 북한 로동신문도 태양빛전지유람선이 1일부터 김일성광장-주체사상탑배길로 유람선들이 오가며 출퇴근을 돕고 있으며 김일성광장-5월1일경기장, 옥류교-대동강다리, 김.. 더보기
통일부-북한연구학회, 한반도 국제포럼 2016 개최 (2016-11-05) 통일부-북한연구학회, 한반도 국제포럼 2016 개최 통일부과 북한연구학회, 연세대학교 통일연구원이 14일, 15일 이틀 간 '한반도 국제포럼 (Korea Global Forum) 2016'을 개최한다고 합니다. 이번 행사는 '한반도 평화와 통일의 통합적 접근'이라는 주제로 서울 장충동 서울신라호텔에서 열린다고 합니다. 한반도 국제포럼 2016 홈페이지 첫날 행사에서는 홍용표 통일부 장관의 기조연설을 시작으로 다양한 토론이 이어진다고 합니다. 동북아 평화와 한반도 통일을 위한 국제적 환경을 주제로한 세션은 문정인 연세대학교 명예특임교수 사회로 진행되며 패널로 류길재 전 통일부 장관, 가렛 에반스 전 호주 외교부 장관, 크리스토퍼 힐 전 미국 국무부 동아태 차관보)가 참여한다고 합니다.. 더보기
한국원자력통제기술원, 북핵 인프라 관리 방안 마련 (2016-11-05) 한국원자력통제기술원, 북핵 인프라 관리 방안 마련 한국의 핵물질 통제업무 전문기관인 한국원자력통제기술원이 북한의 핵 인프라 관리 방안을 마련한다고 합니다. 정부 관계자들에 따르면 한국원자력통제기술원은 내년 2월까지 '북핵 인프라 종합관리 방안 개발' 과제를 진행한다고 합니다. 사진1은 과업지시서 내용입니다. 기술원은 북한의 핵무기, 핵물질 및 관련시설과 핵개발 인력관리 문제가 국제 핵비확산, 핵안보 이슈로서 구체적이고 현실적인 관리 방안 수립이 필요하다고 판단해 이번 과제를 진행한다고 합니다. 국제 핵비확산 규범에 부합하는 북핵 인프라(시설, 물질, 인력)에 대한 종합 관리방안 전략을 수립하겠다는 것입니다. 기술원은 과업로 급변하는 북한의 핵무기와 원자력 에너지 프로그램에 대한 현.. 더보기
도메인 주소 바꾸는 북한 아리랑협회 메아리 (2016-11-03) 도메인 주소 바꾸는 북한 아리랑협회 메아리 올해 3월 북한이 선보인 새로운 선전사이트 아리랑협회 메아리가 웹사이트 도메인 주소를 곧 변경한다고 합니다. 대북 소식통에 따르면 아리랑협회 메아리는 최근 11월 15일부터 도메인 주소를 기존 arirang-meari.com에서 arirangmeari.com으로 바꾼다고 공지했다고 합니다. 사진1은 공지 모습입니다. 북한은 올해 3월 무소속 민간단체 아리랑협회에서 운영한다며 선전사이트 메아리를 선보였습니다. 북한은 메아리 사이트가 북한과 한국, 해외 동포들이 전하는 소식을 전달할 것이라고 주장했지만 지금까지 운영된 내용을 보면 북한 당국의 선전이 대부분의 내용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앞서 북한은 메아리 사이트를 만들기 위해 2015년 11월..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