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국원자력통제기술원, 북한 원전 단지 건설 방안 연구 (2016-10-29) 한국원자력통제기술원, 북한 원전 단지 건설 방안 연구 북한 핵문제가 해결되거나 통일이 될 경우 북한 내에 원자력 발전소를 건설해 전력을 공급하는 방안이 연구됩니다. 정부 관계자들에 따르면 한국원자력통제기술원은 내년 2월까지 '원자력을 이용한 북한 에너지 솔루션 개발 연구'를 진행한다고 합니다. 사진1은 한국원자력통제기술원의 연구 과업지시서 모습입니다. 기술원은 북한과의 평화 분위기 도래 혹은 급변 통일 등을 대비해 북한 전력 에너지 공급원으로 원자력을 부각시킬 정책 솔루션이 필요하다고 설명하고 있습니다. 또 남북 공존 시 북한 원자력 발전 시설 도입에 따른 북한 핵능력 억제와 북한 원자력 발전을 위한 에너지 포트폴리오 구성을 위해 이란 핵협상 사례를 고려한 기술기준, 정량적 분석 .. 더보기
북한 QR코드로 검역 시스템 만들어 (2016-10-23) 북한 QR코드로 검역 시스템 만들어 북한이 QR코드를 이용해 검역시스템을 만든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이는 북한이 다양한 기술을 실제 사용하고 있다는 점을 보여줍니다. 북한이 최근 전국정보화성과전람회 2016를 10월 4일부터 7일까지 개최했다고 합니다. 이번 전시회에서는 북한의 주요 IT기관, 기업들이 최신 IT성과물을 전시했다고 합니다. 여기서 소개된 내용 중 출입국자검역전자등록시스템이 있습니다. 사진1은 우리민족끼리와 조선의오늘이 만든 동영상 내용 중 일부입니다. 내용을 보면 출입국검역전자등록체계를 소개하고 있습니다. 2차원식별부호인 QR코드가 포함된 건강증명서를 활용한 전자등록체계라고 합니다. 현장에서 QR코드로 내용을 확인하면 그것을 중앙 서버, 데이터베이스와 대조하는 방식.. 더보기
북한이 자체 선정한 10대 IT기업은? (2016-10-22) 북한이 자체 선정한 10대 IT기업, 기관은? 북한 지능정보기술연구소 만들어...조선콤퓨터쎈터 건재 북한이 최근 전국정보화성과전람회 2016를 10월 4일부터 7일까지 개최했다고 합니다. 이번 전시회에서는 북한의 주요 IT기관, 기업들이 최신 IT성과물을 전시했다고 합니다. 그런데 북한은 이번 행사에서 10대 최우수 정보기술기업을 선정했다고 합니다. 북한 당국이 자체 선정한 북한의 최고 IT 기관들인 것입니다. 북한의 선정결과를 보면 해체됐다고 알려진 조선콤퓨터쎈터(KCC)가 건재하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또 인공지능을 연구하는 지능정보기술연구소도 만든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북한의 선전매체 우리민족끼리와 조선의오늘 등은 전국정보화성과전람회 2016와 관련된 선전 영상을 게재했다.. 더보기
북한 3D 프린터 의료 분야에 이용 (2016-10-15) 북한 3D 프린터 의료 분야에 이용 북한이 3차원 그래픽 기술과 3D 프린터를 의료 분야에 이용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대북 소식통에 따르면 북한의 선전매체 내나라는 10월 13일 북한 보건성 치과종합병원 미용외과에서 CAD/CAM에 의한 미용성형수술지원체계를 개발해 환자치료에 적용하고 있다고 소개했습니다. 이 지원시스템은 수술모의설계 프로그램과 3차원 인쇄기로 구성되며 CAD/CAM/CAS 등 컴퓨터에 의한 각종 이식체와 보철물의 설계(CAD) 및 3차원인쇄기에 의한 제작(CAM), 환자상태에 대한 3차원적 관찰과 수술조작안내, 수술과정 및 수술후 상태의 모의(CAS-컴퓨터지원외과) 과정으로 이뤄진다고 합니다. 사진1은 3D 프린터를 이용해 의료용 모형을 만드는 것을 보여.. 더보기
북한의 이동통신 데이터요금제는? 최고 요금제 한달 이용료 7000원 (2016-10-14) 북한의 이동통신 데이터요금제는? 북한에서 3세대 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고려링크(koryolink)가 휴대폰으로 인트라넷을 이용하고 각종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자료통신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고 합니다. 최근 북한을 방문한 싱가포르 사진작가 알람 판(Aram Pan)씨는 북한의 데이터요금제에 관한 사진을 촬영해 공개했습니다.   사진1은 알람 판(Aram Pan)씨가 찍은 것입니다. 알람 판씨는 수년 간 북한을 방문해 사진 및 영상 등을 촬영하는 활동을 하고 있습니다.  알람 판씨는 페이스북(https://www.facebook.com/dprk360), 홈페이지(http://www.dprk360.com/) 등에 북한에서 찍은 사진과 360도 사진 자료를 선보이고 있습니다. 사진1..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