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년 통일박람회 전시 어디가 신청했나 보니 (2016-04-12) 2016년 통일박람회 전시 어디가 신청했나 보니 통일준비위원회, 통일부는 5월 27일부터 29일까지 '통일박람회 2016'를 진행할 예정입니다. 이 박람회는 다양한 분야의 단체, 기관들의 통일노력 모습들을 부스 전시와 부대 프로그램으로 국민들에게 알려주어 통일 노력에 대한 이해와 통일공감대를 확산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 통일부는 행사 기간 광화문 광장에 100개동의 부스를 설치해 운영할 예정입니다. 이를 위해 통일부는 4월초까지 박람회 참가를 원하는 기관들의 신청을 받았습니다. 그리고 사진1과 같이 4월 11일 통일부는 공고를 통해 신청 기관들 중 참여가 가능한 곳을 선정해 발표했습니다. 선정된 기관은 민간기관, 공공기관, 종교기관, 대학교, 언론사 등 86개 단체입니다. 8.. 더보기 북한 새 경비행기 도안 공개... 신형 개발하나 (2016-04-12) 북한 새 경비행기 도안 공개... 신형 개발하나 (North Korea released a new light aircraft design) 북한 로동신문, 조선중앙통신 등은 2015년 4월 북한이 경비행기를 자체 개발했다고 일제히 보도한 바 있습니다. 북한이 자체개발했다는 경비행기 모습 북한 매체들에 따르면 김정은이 2014년 8월 비행기 자체 개발을 지시했고 이에 따라 2015년 4월 북한 개발자들이 경비행기를 만들었다는 것입니다. 김정은은 경비행기 시험 운행을 직접 관람하고 개발자들을 칭찬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습니다. 그런데 북한이 새로운 경비행기 도안을 공개했습니다. 북한은 4월 7일 국가산업미술전시회를 개막했습니다. 이번 전시회에는 각종 제품과 산업시설 등에 관한 1000여.. 더보기 북한 김정은이 태양광 유람선을 설계? (2016-04-12) 북한 김정은이 태양광 유람선을 설계? (Is North Korea Kim Jong un designing the solar cruise ship?) 북한은 최근 열린 국가산업미술전시회를 통해 김정은이 각종 산업디자인 도안을 지도했다고 주장했습니다. 그중에서 김정은이 고안했다는 태양광 동력 유람선이 눈에 띕니다. 북한은 지난 4월 7일 국가산업미술전시회를 개막했다고 합니다. 이번 전시회에는 각종 제품과 산업시설 등에 관한 1000여점의 도안과 제품, 모형들이 선보였다고 합니다. 그런데 북한은 김정은이 직접 지도한 자동차, 트렉터 형태도안과 금컵체육인종합식료공장 제품상표 도안 등 100여점이 이번 전시회에 소개됐다고 주장했습니다. 이번 전시회에서 북한은 다양한 유람선 도안을 소개했습니.. 더보기 북한 "김정은이 태양"... 김일성=김정은 동격화 추진? (2016-04-12) 북한 "김정은이 태양"... 김일성=김정은 동격화 추진? (North Korea "Kim Jong un is the sun"... Kim IL Sung = Kim Jong un) 북한이 김정은을 태양으로 지칭하며 지구가 김정은 태양을 중심으로 움직인다고 주장했습니다. 북한에서 태양은 김일성을 가르키는 용어였습니다. 그런데 북한이 태양이라는 용어를 김정은에게 사용하며 우상화를 추진하고 있습니다. 4월 15일 김일성의 생일인 태양절에 맞춰 북한이 손자인 김정은과 할아버지인 김일성을 동격화하려는 것으로 보입니다. 대북 소식통에 따르면 북한 로동신문은 4월 11일 '백두산대국의 위대한 태양을 따라 지구가 돈다'는 글을 게재했다고 합니다. 김정은의 모습 로동신문은 "세계는 정의와 진리, 존.. 더보기 통준위, 통일외교 정책 연구 (2016-04-11) 통준위, 통일외교 정책 연구 통일준비위원회가 외교안보환경 변화와 통일외교 추진체계 및 전략에 관한 연구를 진행한다고 합니다. 올해 북한의 핵실험, 장거리 미사일 발사 등으로 국제 관계가 급변하고 있습니다. 통준위는 이런 상황을 고려해 주요 국가들의 외교정책을 분석해 한국의 한반도 정책을 연구하려는 것으로 해석됩니다. 통준위 연구용역 과제 모습 통준위의 과업 지시서에 따르면 10월까지 외교안보환경 변화와 통일외교 추진체계 및 전략을 연구합니다. 통준위는 최근 한반도의 외교안보환경 변화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평화통일외교의 구체적인 추진체계 및 전략을 마련할 방침입니다. 이를 위해 우선 최근 미국, 중국, 일본, 러시아 등의 외교정책과 대 한반도 정책을 분석한다고 합니다. 미, .. 더보기 이전 1 ··· 69 70 71 72 73 74 75 ··· 29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