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북한 기사/북한IT

북한 중국 최대 동영상 사이트로 선전 확대 (2013-10-06) 북한 중국 최대 동영상 사이트로 선전 확대 북한은 조선중앙통신, 우리민족끼리, 로동신문, 내나라, 류경, 려명 등 자체 사이트 이외에도 페이스북, 트위터, 유튜브 등을 선전에 활용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최근 북한이 중국 최대 동영상 공유 사이트인 유쿠(또는 여우쿠, www.youku.com)를 선전에 활용하기 시작했다고 합니다. 대북 소식통에 따르면 북한 우리민족끼리는 조선중앙TV의 '전국도대항체육경기 -녀자배구-', '박근혜패당은 우리의 응당한 비판과 경고를 똑바로 새겨들어야 한다 -조국평화통일위원회 대변인담화-', '아동영화 씽씽이의 금빛털옷', '연속극 자기를 바치라 제1부' 등을 유쿠와 연결해 제공하고 있다고 합니다. 유쿠에 확인해본 결과 모란봉TV 명의로 우리민족끼리와 같.. 더보기
북한 14차 전국교육 프로그램 전시회 진행 (2013-10-04) 북한 14차 전국교육 프로그램 전시회 진행 북한이 지난 2일 3대혁명전시관에서 14차 전국교육부문 프로그램 전시회를 개막했다고 합니다. 대북소식통에 따르면 조선중앙통신은 지난 3일 개막 소식을 보도했다고 합니다. 이번 전시회에는 김일성종합대학, 김형직사범대학, 김책공업종합대학, 평양외국어대학, 희천공업대학, 남포농업대학을 비롯한 전국 교육부문 70여개 기관의 교원, 연구사, 학생들이 내놓은 1000여건의 프로그램이 출품됐다고 합니다. 전시회는 교육기관 정보화 부문과 프로그램 부문으로 나뉘여 진행된다고 합니다. 전시회에서는 대학과 학교들이 교육 정보화실현과 모의실험실습프로그램, 교육지원프로그램 등 프로그람들의 개발, 이용에서 이룩된 성과를 소개하고 교환한다고 합니다. 개막식에는 김승.. 더보기
북한이탈주민 제작 상품 소개몰 구축된다 (2013-09-15) 북한이탈주민 제작 상품 소개몰 구축된다 북한이탈주민들이 만든 제품과 서비스, 농산물 등을 소개하고 판매할 수 있도록 연결해주는 상품소개몰이 올해 연말까지 만들어집니다. 15일 정부 관계자들에 따르면 북한이탈주민지원재단은 북한이탈주민 기업체 상품소개몰 컨텐츠 및 커뮤니티를 12월까지 만들 예정입니다. 재단은 이달 중 사업자를 선정해 상품소개몰 구축 및 운영 전략 수립, 중장기 로드맵 작성을 진행합니다. 이 쇼핑몰은 북한이탈주민들의 창업기업, 사회적기업 및 영농법인 등에서 생산한 제품을 한 곳에서 소개하는 역할을 합니다. 또 제품을 판매하는 북한이탈주민들이 정보를 교환하고 소통할 수 있도록 커뮤니티도 지원합니다. 재단은 북한이탈주민들이 한국에서 사업을 성공적으로 진행하고 한국 생활에 .. 더보기
북한에도 IT 전문 잡지가? (2013-09-10) 북한에도 IT 전문 잡지가? 북한은 IT 분야에 높은 관심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이를 반증하듯 북한은 다양한 IT 관련 서적을 발행하고 있다고 합니다. IT 인재 양성을 위해 북한은 다양한 교육용 서적들을 제작해 배포하고 있다고 합니다. 북한은 IT 교육 서적 뿐 아니라 다양한 IT 잡지도 발행하고 있다고 합니다. 오늘은 북한의 IT 관련 서적들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사진1은 북한 과학기술풀판사에서 2006년 발행한 '조선과학기술잡지'라는 책입니다. 이 책은 북한에서 발행하는 잡지들 중에서 김일성종합대학 학보(자연과학),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발명공보, 과학원통보를 비롯한 18종의 과학기술잡지들을 편집한 북한 최초의 종합적인 전자잡지라고 합니다. 북한 정보과학이라는 잡지입니다... 더보기
북한 3차원 지하정보시스템 개발 (2013-09-06) 북한 3차원 지하정보시스템 개발 북한이 탄광, 광산 등의 지하 정보를 3차원으로 보여주는 시스템을 개발했다고 합니다. 대북 소식통에 따르면 9월 5일 로동신문은 국가과학원 환경공학연구소가 북한식의 3차원 지하정보시스템을 개발했다고 보도했습니다. 로동신문은 이 시스템이 탄광, 광산들에서의 갱도와 광체의 분포상태를 3차원적으로 수치화해주고 그에 근거해 갱도 및 광체들의 동적변화 상태를 입체적으로 묘사할 수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북한은 이 시스템으로 갱도들을 과학적으로 정확히 숫자화, 모형화한 결과 그 갱도 속의 임의의 장소에 들어가 실제 환경과 같이 가상현실 탐험도 할 수 있으며 광체 및 지형모형화 과정을 3차원 동화상으로 현시하거나 도면으로 생성할 수도 있다고 밝혔습니다. 전문프로그.. 더보기
북한 인터넷 미술관 개관 (2013-08-27) 북한 인터넷 미술관 개관 북한이 인터넷 미술관을 개관했다고 합니다. 대북소식통에 따르면 최근 북한 로동신문은 인터네트 미술관 홈페이지를 만들었다고 합니다. 북한 인터넷 미술관은 조선화, 판화 및 유화, 조선보석화, 도자기와 공예작품 메뉴로 구성돼 있다고 합니다. 사진1은 조선화 코너로 25점의 작품이 전시돼 있습니다. 사진2 판화, 유화 코너로 4점의 작품을 선보이고 있습니다. 사진3은 조선보석화로 10점의 작품이 있습니다. 사진4는 도자기, 공예작품으로 13점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북한은 사진5와 같이 전통적인 그림을 전시하고 있습니다. 사진6, 7과 같은 선전화도 소개하고 있습니다. 사진8과 같은 현대식 도자기도 선보이고 있습니다. 북한이 인터넷 미술관을 개관한 이유는 알려지지.. 더보기
북한 GIS 기반 무연탄층 평가시스템 구축 (2013-08-22) 북한 GIS 기반 무연탄층 평가시스템 구축 북한이 지리정보시스템(GIS) 기반의 무연탄층 지질 상태 평가 시스템을 구축했다고 합니다. 대북 소식통에 따르면 22일 북한 로동신문은 국가과학원 지질학연구소 과학자들이 지리정보체계(GIS)에 기반한 무연탄밭(무연탄층의 북한말)의 지질상태를 평가하기 위한 평가시스템을 확립해 국가과학기술성과로 등록됐다고 보도했습니다. 로동신문은 석탄지질학연구집단의 과학자들이 국가자원개발성, 중앙광물자원조사단, 평성석탄공업대학 그리고 다양한 석탄공업부문의 과학자, 기술자들과 협력해 북한 무연탄층의 지질정보자료기지(DB)를 구축하고 그에 기초해 지질구조에 대한 평가를 과학화하기 위한 연구 사업을 진행했다고 설명했습니다. 이 과정에 북한 과학자들은 GIS를 이용.. 더보기
북한 14차 교육프로그램경연 개막 (2013-08-21) 북한 14차 교육프로그램경연 개막 대북 소식통에 따르면 지난 8월 20일 조선중앙통신은 제 14차 전국교육부문 프로그램경연이 20일 평양에서 개막됐다고 보도했습니다. 북한이 매년 개최하는 이 경연은 북한의 대학, 전문 학교들에서 선발된 학생들이 배운 IT 정보기술 실력을 겨루는 대회입니다. 북한은 이번 경연이 급속히 발전하고 있는 북한의 IT교육과 프로그램 개발수준을 보여주는 계기로, 뛰어난 인재를 찾아내고 키우기 위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이번 경연은 22일까지 진행된다고 합니다. 강진규 기자 wingofwolf@gmail.com 더보기
북한 개발자들 한국 IT 뉴스 수집 공유했다 (2013-08-20) 북한 개발자들 한국 IT 뉴스 수집 공유했다 북한 개발자들이 지난 2011년 7월부터 소프트몬스터(SoftMonster)라는 온라인 커뮤니티를 결성해 활동하고 있습니다. 관련 기사 http://wingofwolf.tistory.com/434 커뮤니티 활동 중 하나로 북한 개발자들은 IT 뉴스와 정보를 수집해 공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소프트몬스터에는 275개 게시물이 IT상식, 추세, 사건, 인물, 참고자료, 프로그람 작성, 외국어 등의 카테고리로 나뉘어 게시돼 있습니다. 흥미로운 점은 북한 개발자들이 지디넷코리아, 디지털데일리, 전자신문, 연합뉴스, 동아일보, 조선일보, 머니투데이 등 국내 매체의 기사를 모니터링해서 공유를 했다는 점입니다. 얼핏 소프트몬스터의 IT 기사.. 더보기
북한 개발자들 온라인 커뮤니티 결성해 정보공유 (2013-08-20) 북한 개발자들 온라인 커뮤니티 결성해 정보공유 북한이 IT에 높은 관심을 나타내며 개발자 육성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하지만 북한 개발자들의 실력과 활동, 교육 상황 등 모든 것이 베일에 쌓여있습니다. 본 기자는 지난 2012년 9월부터 최근까지 약 1년 동안의 추적을 통해 해외에 주재하는 조선콤퓨터중심(KCC) 등 북한 개발자들이 온라인 커뮤니티를 만들어 활동하고 있는 사실을 찾아냈습니다. 수십명의 개발자들은 2011년 7월부터 온라인 커뮤니티를 통해 애플, 구글, 페이스북, 삼성전자, 마이크로소프트 등의 최근 소식을 공유했습니다. 이들은 나아가 커뮤니티로 협업을 진행하고 개발자 교육도 실시하고 있는 것으로 밝혔졌습니다. 제가 지목하는 곳은 소프트폰스터..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