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

북한이 사용하는 보안기술 Kerberos부터 VPN까지 (2014-07-06) 북한이 사용하는 보안기술 Kerberos부터 VPN까지 북한에서는 보안을 위해 어떤 기술들을 사용하고 있을까요? 북한도 한국처럼 방화벽, 가상사설망(VPN), 각종 암호규약을 사용합니다. 최근 저는 북한 붉은별 운영체제(OS) 3.0 서버용 제품의 지도서를 입수했습니다. 북한 붉은별 3.0 사용지도서 및 보안설정지도서 입수 http://wingofwolf.tistory.com/690 붉은별 3.0 서버용 보안지도서에는 북한에서 사용하는 보안기술에 대해서 설명하고 있습니다. 보안기술을 이해시키고 설정 방법 등을 설명하는 것입니다. 사진1을 보면 붉은별 3.0 서버용 제품에 높은 수준의 공개키방식의 암호화 알고리듬이 이용되고 있다고 나옵니다. OpenSSH와 GPG가 그것입니다. 둘다.. 더보기
북한 붉은별3.0의 보안 및 비밀번호 정책은? (2014-07-06) 북한 붉은별3.0의 보안 및 비밀번호 정책은? 해커로 부터 시스템을 지키는 보안 문제가 전 세계적인 화두가 되고 있습니다. 북한 역시 보안을 강화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북한의 IT 보안 점검 항목은 어떻게 구성됐으며 비밀번호는 어떻게 설정하고 있을까요? 북한은 체계적인 보안 정책을 추진하고 있고 비밀번호도 8자리 이상 복잡한 숫자로 구성하고 있다고 합니다. 최근 저는 북한 붉은별 운영체제(OS) 3.0 서버용 제품의 지도서를 입수했습니다. 북한 붉은별 3.0 사용지도서 및 보안설정지도서 입수 http://wingofwolf.tistory.com/690 이중 '붉은별 봉사기용체계 보안봉사대몬관리지도서', '붉은별 봉사기용체계 3.0 기초보안설정지도서'에 나온 북한의 보안 점검.. 더보기
북한, 김일성 사망 20년 국제인터넷토론회 개최 (2014-07-06) 북한, 김일성 사망 20년 국제인터넷토론회 개최 북한 김일성 사망 20년을 맞아 김일성을 주제로한 국제인터넷토론회가 열렸다고 합니다. 대북 소식통에 따르면 조선중앙통신은 6월 26일부터 28일까지 '세기의 위인-김일성' 국제인터넷토론회가 열렸다고 보도했습니다. 김일성을 1994년 7월 8일 사망한 바 있습니다. 토론회는 인도네시아 자카르타에서 현지 토론회를 하면서 인터넷상에 세계 여러 지역 및 나라들에 친북 세력이 글을 올리는 방식으로 진행됐다고 합니다. 북한은 해외에서 김일성을 경모해서 토론회를 열었다고 주장했지만 현지 북한 대사관 등이 주도하고 친북 세력이 참여한 것으로 보입니다. 북한은 이 행사에 러시아, 방글라데시, 브라질 등 50개 국가에서 70여명의 각계 인사들가 참여했.. 더보기
북한 김정은 자동차는 벤츠 S클래스? (2014-07-06) 북한 김정은 자동차는 벤츠 S클래스? 북한의 최고 권력자 김정은는 어떤 자동차를 타고 다닐까요? 김정은은 벤츠 S클래스 리무진을 타고 다니는 것으로 추정됩니다. 사진1은 김정은의 시찰 사진입니다. 오른쪽에 차량의 모습이 보입니다. 사진2는 김정은의 군시찰 모습입니다. 오른쪽 윗부분을 보면 차량이 있는데 벤츠 마크가 선명하게 보입니다. 사진2의 전면을 보면 벤츠 차량 종류를 가늠할 수 있습니다. 사진3 출처 벤츠 사이트 사진3을 보면 윗 차량은 벤츠 E클래스입니다. 벤츠의 많은 차량 종류들이 E클래스 전면처럼 생겼습니다. S클래스만 아랫 모습처럼 전면이 구성돼 있습니다. 사진2와 비교해보면 S클래스 전면과 비슷하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사진4가 벤츠 S클래스 모습입니다. 사진5는.. 더보기
남북 도서통합 관리 전략 마련 (2014-07-06) 남북 도서통합 관리 전략 마련 국립중앙도서관이 남북 도서관례를 연구하고 도서관 통합 전략을 마련할 것이라고 합니다. 정부 관계자들에 따르면 국립중앙도서관은 7월부터 11월까지 남북통일에 대비해 국립중앙도서관의 대응방안을 마련할 것이라고 합니다. 우선 도서관은 독일 통일을 전후한 도서관계의 현황과 협력활동 등을 동독, 서독 국립도서관의 활동을 중심으로 조사 및 분석할 것이라고 합니다. 통일 전후의 동, 서독 도서관계가 어떠했는지 확인하고 독일국립도서관을 중심으로 한 통일독일의 도서관 통합을 위한 노력을 살펴볼 것이라고 합니다. 또 현재 남한과 북한의 도서관 관리 실태를 조사하고 통일 한반도 국립중앙도서관으로의 과제와 대응방안을 만들것이라고 합니다. 통일 과정에서 무엇보다 문화적 통일.. 더보기
북한 훈민정음에는 세종대왕이 없다? (2014-07-05) 북한 훈민정음에는 세종대왕이 없다? 조선시대 세종대왕의 지시로 만들어진 한글은 세계적으로 우수한 언어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북한에서도 한글 '훈민정음'을 높게 평가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북한은 세종대왕이 훈민정음을 창제했다는 것은 이야기하지 않고 있습니다. 대북소식통에 따르면 7월 5일 북한 사이트 류경은 훈민정음이 세계의 자랑이라는 내용의 게재했다고 합니다. 류경은 "조선 인민이 창조한 세계의 자랑 훈민정음은 그 유례를 찾아보기 힘든 가장 우수한 글자이다"라고 설명했습니다. 류경은 훈민정음이 음운체계를 반영한 글자로서 불과 몇 십 개에 달하는 글자를 가지고 수 십 만개에 달하는 단어를 나타낼 수 있는 장점을 갖고 있어 가장 높은 단계를 이루는 글자유형이라고 설명했습니다. 또 훈민.. 더보기
북한 "IT로 체육발전 도모" (2014-07-01) 북한 "IT로 체육발전 도모" 북한이 IT를 이용해 체육을 발전시키고 있다고 주장하고 나섰습니다. 대북 소식통에 따르면 북한 조선중앙통신은 6월 30일 체육과학연구소가 체육 발전에 이바지할 수 있는 여러 프로그램을 새로 개발했다고 보도했습니다. 조선중앙통신은 축구훈련정형을 분석하는 프로그램이 감독들이 세운 훈련계획에 대한 분석과 선수들의 운동과정에 나타나는 육체적 부담을 비롯한 여러가지 사안을 과학적인 평가해준다고 소개했습니다. 또 음성인식기술을 이용하여 매 선수들의 기술수법적용 및 성공률을 분석하고 현대 축구발전 추세에 맞는 과학적인 훈련방법, 기초이론, 상식 등을 알려준다고 설명했습니다. 체육과학연구소는 농구, 역기, 다이빙, 기계체조 등 여러 종목의 경기들에서 선수들의 운동량.. 더보기
북한 "핵잠수함으로 하와이 앞바다에서 훈련" (2014-06-30) 북한 "핵잠수함으로 하와이 앞바다에서 훈련" 최근 북한 김정은이 잠수함 부대를 방문했습니다. 그런데 이와 관련해 북한이 핵잠수함, 핵어뢰를 보유하고 있고 하와이, 괌 앞바다로 진출해 훈련을 하고 있다고 주장하고 나섰습니다. 대북 소식통에 따르면 북한 대남선전매체 우리민족끼리는 6월 27일과 28일 이틀에 걸쳐 '세계가 놀랄 북의 잠수함련합부대의 위력'이라는 글을 게재했다고 합니다. 북한은 이글이 한국 인터넷에 올라온 내용을 기반으로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그런데 내용을 보면 한국 인터넷이 아니라 북한이 출처인 것으로 보입니다. 우리민족끼리는 "남조선 인터네트에 경애하는 최고사령관 김정은 동지께서 얼마전에 시찰하신 잠수함련합부대의 위력에 대하여 소개한 글이 실렸다"고 설명했습니다. 북.. 더보기
북한도 QR코드 사용? (2014-06-29)북한도 QR코드 사용? 북한이 QR코드를 연구해 상용화할 것이라고 합니다. 대북 소식통에 따르면 북한 로동신문은 6월 29일 '상업활동에 적극 이용되고 있는 2차원부호'라는 기사를 제재했다고 합니다. 2차원 부호라고 하면 무엇을 뜻하는지 얼핏알기 어렵습니다. 그런데 로동신문의 설명을 보면 QR코드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로동신문은 "최근 여러 나라들에서는 정보표시능력이 선부호(바코드)보다 높은 2차원 부호를 상업활동에 적극 이용하고 있다"며 "2차원부호는 4각형모양의 평면위에 짧은 선이나 점, 공백을 일정한 규칙에 따라 수직, 수평방향으로 인쇄하는 방법으로 정보를 표시하는 식별부호"라고 설명했습니다. QR코드 구조 예시 (자료출처 위키피디아) 로동신문은 2차원부호가 현재 널리 이.. 더보기
통일부, 북한 물품 3국 우회반입 오락가락 (2014-06-26) 통일부, 북한 물품 3국 우회반입 오락가락 통일부가 천안함 사건, 연평도 포격 이후 5.24 조치를 시행해 북한과 무역, 교류를 규제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3국을 우회해서 북한 물품을 들여오는 것은 대상이 아니라고 합니다. 지난해 연말에는 3국 우회 반입을 자중해달라고 당부했는데 최근에는 이를 막을 수 없다고 답변이 오락가락하고 있습니다. 본 기자는 지난해 12월 취재를 위해 북한 태블릿 PC 반입을 시도했습니다. 이에 대한 법리적 해석을 받기 위해 통일부에 질의를 했습니다. 당시 통일부는 3국을 경유해서 북한 물품을 들여오는 경우 대외무역으로 통일부 승인 사항이 아니라고 했습니다. 하지만 5.24 조치를 시행하는 정부의 입장과 취지가 있다며 취재를 목적으로 해도 반입이 부적절하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