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북한 기사

영국 정부가 밝힌 북한 39호실 실체는? (2016-02-18) 영국 정부가 밝힌 북한 39호실 실체는? 39호실 은행, 무역회사 보유... 보험사와 연계해 북 정권에 불법 자금 지원 북한의 핵실험, 장거리 미사일 발사 후 개성공단이 폐쇄됐습니다. 그런데 정부 당국자들이 개성공단 북한 근로자들의 월급이 북한 조선로동당 39호실로 들어갔다는 주장하면서 논란이 일고 있습니다. 39호실은 북한 로동당의 자금을 관리하는 중요한 부서이지만 그 실체가 잘 알려져 있지 않습니다. 그런데 39호실의 실체를 일부나마 알려주는 영국 정부 자료가 있습니다. 영국 정부는 지난해 7월 북한 관련 금융제재 현황을 발표했습니다. 영국은 미국과 UN 그리고 자체 정보역량을 통해 확보한 자료를 종합해 이같은 내용을 만든 것으로 알려지고 있습니다. 사진1은 영국 정부의 북한 .. 더보기
북한 무선통신 양어장종합감시조종 시스템 구축 (2016-02-18) 북한 무선통신 양어장종합감시조종 시스템 구축 대북 소식통에 따르면 북한 대외선전매체 조선의오늘은 2월 18일 국가과학원 정보과학기술연구소이 무선통신에 의한 양어장종합감시조종 체계를 구현했다고 보도했습니다. 김정은(왼쪽 첫 번째)이 양어장을 보고 있는 모습 조선의오늘은 북한에서 양어장의 현대화, 과학화가 적극 추진돼 유선통신에 의한 양어장의 종합적인 감시조종체계가 구축돼 운영되고 있다고 소개했습니다. 조선의오늘은 유선통신에 의한 양어장종합감시체계가 조종실에서 양어장까지 광섬유케이블과 망케이블, 차페신호선 등을 설치해야 하며 산소포화기, 수질분석기 등이 물 속에 있어 여러 가지 애로사항이 발생하고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이에 국가과학원 정보과학기술연구소가 무선통신 방식의 시스템을 개발해.. 더보기
한국 인터넷 댓글 보고 있는 북한 (2016-02-15) 한국 인터넷 댓글 보고 있는 북한 북한이 한국 인터넷상의 기사 댓글과 트위터 등을 보면서 여론을 파악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북한은 온라인 댓글을 자신들의 의도에 맞게 해석해 선전해 활용하고 있다고 합니다. 대북 소식통에 따르면 북한 대남선전매체 우리민족끼리TV는 2월 13일 '댓글로 보는 북의 위성발사'라는 영상을 제작해 게재했다고 합니다. 이 영상은 북한의 장거리 미사일 광명성 4호 발사와 관련된 선전을 목적으로 만들어졌다고 합니다. 한국 누리꾼들이 북한을 옹호하고 한국 정부를 비난하고 있다는 것이 북한의 주장입니다. 사진1은 우리민족끼리TV가 게재한 동영상의 모습입니다. 한국과 해외의 민심을 알아본다는 내용이 보입니다. 사진2를 보면 댓글로 보는 북의 위성발사라며 명확.. 더보기
북한 1억3850만건 43테라 과학기술 DB 구축 (2016-02-14) 북한 1억3850만건 43테라 과학기술 DB 구축 북한이 지난해 10월 과학기술전당을 선보였습니다. 북한 과학기술전당이 김정은의 과학기술강국을 위한 업적이라며 연일 선전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과학기술전당의 중요한 역할 중 하나는 과학기술데이터베이스 구축이었던 것으로 알려지고 있습니다. 북한은 1억3850만건 약 43테라바이트(TB) 규모의 DB를 구축했다고 합니다. 북한은 지난해 10월 북한 평양 쑥섬에 사진1과 같은 모습의 과학기술전당을 완공했습니다. 김정은이 직접 방문한 과학기술전당에 대해 북한은 전시장과 시설을 자랑했습니다. 과학기술전당을 방문한 김정은 모습 북한 과학기술전당에는 기초과학기술관, 응용과학기술관, 지진체험실, 가상과학실험실 전시장과 과학기술보급실과 열람장소 등이.. 더보기
헬조선, 금수저 신조어로 선전나선 북한 (2016-02-11) 헬조선, 금수저 신조어로 선전나선 북한 최근 한국 사회에서는 헬조선이라는 용어와 금수저, 흙수저 등 신조어가 유행하고 있습니다. 만성화되고 있는 경기 침체와 청년실업, 사회부조리가 이런 용어가 유행하게 된 배경입니다. 그런데 북한도 이들 신조어에 관심을 나타내고 있다고 합니다. 북한은 신조어를 이용해 한국 사회를 비난하려 하고 있습니다. 대북 소식통에 따르면 북한의 대남선전매체 우리민족끼리는 2월 11일 수저론을 소개하는 글을 게재했다고 합니다. 우리민족끼리는 남한 청년들 사이에서 수저론이라는 신조어가 유행하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우리민족끼리는 수저론이 빈부격차, 부익부, 빈익빈의 현실을 반영한 말이라고 할 수 있으며 계급 신분관계에 따라 청년들의 생활수준이 각이한 남한 현실을 .. 더보기
북한 김정은, 과학기술은 강성대국 건설의 위력한 무기 지적 (2016-02-10) 북한 김정은, 과학기술은 강성대국 건설의 위력한 무기 지적 북한이 지난 1월 핵실험을 실시한 것에 이어 2월 7일 위성을 탑재했다는 장거리 로켓 광명성 4호를 발사해 동북아시아의 긴장이 고조되고 있습니다. 그런데 이런 북한의 움직임은 이미 예견된 것으로 보입니다. 북한 김정은이 과학기술강국을 강조하면서 과학기술이 강성대국 건설의 위력한 무기이며 과학기술전선이 반미대결전에 앞장설 것을 지시했다는 사실이 확인됐습니다. 지난해 북한 김일성종학대학은 김정의의 지시 사항을 연구한 논문을 학보에 게재했다고 합니다. 사진1은 김정은이 밝힌 과학기술강국의 본질에 관한 연구 내용입니다. 이 논문에 따르면 김정은은 "과학기술발전의 성과와 그 전도는 과학기술인재에 의하여 결정되며 과학기술강국은 곧 과.. 더보기
북한 광명성 4호에 관측장비 탑재 주장 (2016-02-10) 북한 광명성 4호에 관측장비 탑재 주장 북한이 지난 2월 7일 발사한 광명성 4호 위성이 지상관측 기능을 하게 될 것이라며 관측장비가 탑재됐다고 시인했습니다. 북한의 주장이 사실이라면 어떤 장비를 탐재했는지 주목됩니다. 대북 소식통에 따르면 북한 로동신문은 2월 10일 광명성 4호가 관측목적의 위성이라고 보도했습니다. 북한이 2월 7일 발사한 광명성 4호 모습 로동신문은 인공지구위성을 사명에 따라 여러 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며 우주공간의 물리적 상태를 탐사하는 우주물리탐사위성, 우주공간에서 천체들을 관측하는 천문위성, 지상에서의 무선통신을 중계해주는 통신위성, 자기 위치를 알 수 있도록 하는 사명을 수행하는 항법위성 등이 있다고 소개했습니다. 북한은 지구관측위성의 경우 지구를 관측.. 더보기
북한 지난해 위성자료 분석 연구... 광명성에 관측장비 장착? (2016-02-10) 북한 지난해 위성자료 분석 연구... 광명성에 관측장비 장착? 북한이 2월 7일 장거리 로켓 광명성 4호로 위성을 발사했다고 밝혔습니다. 이후 미국, 한국 정부 당국자들에 따르면 위성으로 추정되는 물체를 우주 궤도에 올린 것으로 알려지고 있습니다. 그런데 북한이 지난해인 2015년 위성자료 분석 연구를 집중적으로 진행해 주목됩니다. 이들 연구가 광명성 4호 발사와 연관이 있는지 분석이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김일성종합대학은 지난해 대학학보를 통해 위성연구 관련 내용을 소개했다고 합니다. 사진1은 학보 61권 2호에 수록된 위성화상의 공간분해능과 지도축적과의 관계라는 내용의 연구 내용입니다. 이 내용은 위성화상자료를 지도축적과 최적화하는 방안을 다룬 것으로 보입니다. 같은 학보에 .. 더보기
북한 사이트들이 설정해 놓은 검색어는? (2016-02-09) 북한 사이트들이 설정해 놓은 검색어는? 웹사이트 개발자들은 사이트가 구글, 네이버 등의 검색엔진이 사이트를 잘 인식할 수 있도록 검색어를 설정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우리민족끼리, 조선의오늘, 로동신문 등 북한 웹사이트들도 검색어를 설정해 놨다고 합니다. 북한은 북한과 김정은, 김정일, 김일성 그리고 통일 관련 내용을 주로 검색어로 설정해 놨다고 합니다. 사진1은 북한의 대남선전매체 우리민족끼리 홈페이지의 소스코드 중 일부입니다. 내용을 보면 로 정의된 내용이 있습니다. META 태그는 그 사이트에 대해 설명하는 용도로 쓰입니다. 검색엔진이 meta 속성을 인식해 검색에 반영합니다. 중 keyword 부분은 웹사이트 개발자가 검색어를 설정한 부분입니다. description는 사이트.. 더보기
김정은 책상의 애플 마우스? (2016-02-08) 김정은 책상의 애플 마우스? 북한이 2월 7일 장거리 로켓 광명성 4호를 발사했습니다. 북한은 김정은이 2월 6일 발사를 명령했다며 사진을 공개했습니다. 그런데 사진에서 흥미로운 점이 있습니다. 사진1이 바로 북한이 공개한 사진입니다. 그런데 사진 좌측 하단에 빨간색으로 표시한 부분을 보면 컴퓨터 마우스가 보입니다. 의도적으로 컴퓨터는 사진에 안나오도록 했지만 마우스가 찍힌 것으로 보입니다. 그런데 전체적으로 둥근 형태에 하얀 마우스는 어디선가 많이 본 듯한 모양입니다. 애플 마우스 같은 모양입니다. 사진2는 애플의 마우스입니다. 두 개를 비교해 보면 유사한 것으로 보입니다. 물론 사진의 해상도가 낮고 애플 상표 등이 안보여서 정확히 일치되는 것인지는 말기 어렵습니다. 그러나 과거..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