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지자체, 북한 핵실험 후 복무관리 강화
(2016-01-13) 정부-지자체, 북한 핵실험 후 복무관리 강화 1월 6일 북한이 수소폭탄 실험을 했다고 발표했습니다. 북한의 발표는 국내는 물론 국제적으로 큰 파장을 가져왔고 국방, 외교, 경제 등 각 분야별로 정부 관계자들이 긴밀하게 움직이고 있습니다. 정부와 중앙부처는 물론 지자체에 복무관리 강화와 주요 시설 경계강화를 지시했다고 합니다. 사진1은 행정자치부가 1월 6일 지자체에 배포한 '북한 수소탄 실험 관련 복무관리 강화' 공문입니다. 이 공문은 서울시, 부산시, 대구시, 인천시, 광주시, 대전시, 울산시, 세종시, 경기도, 강원도, 충청북도, 충청남도, 전라북도, 전라남도, 경상북도, 경상남도, 제주도 등에 전달됐다고 합니다. 행자부는 비상련락체계 뮤지 및 신속한 보고체계 확립, 청사 등 ..
더보기
북한 9개 특수경제구역, 16개 경제구역 설치
(2016-01-06) 북한 9개 특수경제구역, 16개 경제구역 설치 북한은 경제난 타개를 위해 다양한 경제개발구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일부 구역은 산업단지 형태로 운영되지만 또 일부 지역은 해외 투자 유치를 위해 특별법으로 자본주의적 정책이 반영됩니다. 본 블로거 운영자는 북한의 경제개발구를 한 눈에 확인할 수 있는 지도를 입수했습니다. 사진1은 신의주국제경제지대 투자안내서에 나온 북한의 경제개발구 현황입니다. 파란색으로 표시된 곳들이 특수지구이고 검은색은 일반지구로 보여집니다. 특수지구는 9개 입니다. 금강산국제관광특구, 개성공업지구, 감령국제록색시험구, 진도수출가공구, 은정첨단기술개발구, 황금평-위화도경제지대, 신의주국제경제지대, 무봉국제관광특구, 라선경제무역지대가 그것입니다. 개성공업지구는 한국과..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