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북한 기사

북한 나노윤활유첨가제 생산 (2015-05-31) 북한 나노윤활유첨가제 생산 북한이 나노윤활유첨가제를 개발해 생산하고 있다고 합니다. 대북소식통에 따르면 로동신문은 5월 31일 국가나노기술국에서 나노윤활유첨가제를 생산하고 있다고 보도했습니다. 이 첨가제는 나노동-연합금분말을 포함하고 있는 마찰수복형 나노윤활유첨가제로서 마찰면 수복제라고 합니다. 로동신문은 세계적으로 1차 에너지의 30~50%가 마찰에 의해 소모되고 기계설비의 파괴와 손상의 80%가 마찰마모에 의한 것이며 기계 설비들에서 발생하는 엄중한 사고의 절반 이상이 윤활작용이 잘못돼 일어난 과도한 마모에 의한 것이였다고 설명했습니다. 북한은 나노기술을 윤활제분야에 도입하기 위한 연구과정에 동, 니켈, 몰리브덴 등의 나노분말이 윤활유의 마모 특성을 현저히 개선한다는 것이 알려.. 더보기
북한 "3D프린터 여러 경제 부문에 적용" (2015-05-22) 북한 "3D프린터 여러 경제 부문에 적용" 지난 5월 12일 북한이 3D프린터를 자체 개발했다는 소식을 전해드린 바 있습니다. 이전기사 2015/05/12 - 북한 3D프린터 자체 개발 그런데 북한이 이에 대해 자세히 설명을 하고 나섰습니다. 대북소식통에 따르면 최근 조선중앙TV는 30차 중앙과학기술축전을 홍보하는 영상을 시리즈로 방영하고 있습니다. 그중 평양기계종합대학이 3차원인쇄기술를 출품했다고 소개했습니다. 사진1은 북한이 개발한 3D프린터 모습입니다. 사진2는 북한 3D프린터의 개용입니다. 사진3은 북한 3D프린터를 활용한 제작과정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사진4, 5는 실제 3D프린터 모습입니다. 평양기계종합대학 관계자는 3차원인쇄기술이 부품 제작에서 가장 첨단적인 기술이리고.. 더보기
북한 스마트폰, 태블릿으로 원격교육 (2015-05-21) 북한 스마트폰, 태블릿으로 원격교육 북한이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원격교육 시스템을 구축했다고 합니다. 이에 따라 스마트폰, 태블릿PC로 원격강의를 받을 수 있게 됐다고 합니다. 대북소식통에 따르면 북한 로동신문은 5월 21일 김책공업종합대학 원격교육대학이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원격교육시스템을 확립해 누구나 시간과 장소의 제한을 받지 않고 공부할 수 있게 됐다고 보도했습니다. 로동신문은 북한에서 원격교육이 전민 학습의 수단으로 등장해 몇해 동안 비약적으로 발전했다고 주장했습니다. 로동신문은 김정은의 뜻에 따라 김책공업종합대학 원격교육대학의 연구원들이 원격교육을 더 높은 수준으로 끌어올리기 위한 연구 사업을 진행했다고 설명했습니다. 이에 북한 실정에 맞는 이동통신망에 의한 원격교육체계를 .. 더보기
북한 "북 사이버위협은 남조선의 발악" (2015-05-21) 북한 "북 사이버위협은 남조선의 발악" 최근 국가정보원이 국회 정보위에 보고한 북한 해킹 관련 내용에 대해 북한이 모략이라며 강력히 반발하고 있다고 합니다. 대북소식통에 따르면 북한 통일신보는 5월 21일 "지금 남조선 당국은 기회가 있을 때마다 북의 사이버위협에 대해 떠들어대면서 공화국의 존엄과 위상을 깎아내리기 위해 갖은 발악을 다하고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통일신보는 "얼마 전에도 남조선 보수당국이 현재 북의 IT해킹 인력이 900명이나 늘었다느니, 북의 IT해킹인력이 한국수력원자력과 코레일을 계속 공격한 조직이라느니 하고 헐뜯어댔다"고 비난했습니다. 4월말 국정원은 국회에서 열린 정보위원회 전체회의에서 북한은 해킹인력이 4200명에서 5100명으로 늘었다고 보고한 것으로 알.. 더보기
우려되는 북한 나노은치약 (2015-05-19) 우려되는 북한 나노은치약 북한이 나노은치약을 개발, 생산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나노은의 유해성에 대한 우려가 높아지고 있어 나노은치약이 북한 주민들의 건강을 해칠 수 있다는 우려가 높아지고 있습니다. 대북소식통에 따르면 북한 대외선전매체 조선의오늘은 5월 19일 나노은치약을 선전하고 나섰습니다. 사진1을 보면 대륜기술교류사가 맑은아침이라는 상표로 선보인 나노은치약은 3가지 종류가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그중에서는 어린이용 나노은치약도 있습니다. 북한은 나노은치약이 입냄새, 염증 제거에 탁월하며 입안 세균 및 치석을 제거해준다고 자랑했습니다. 북한은 이 나노은치약을 북한 주민들에게 공급하고 수출도 하려는 것으로 보입니다. 하지만 나노은치약의 안전성이 입증됐는지 의문입니다. 은나노 물.. 더보기
북한 김책공대 수질종합측정기 개발 (2015-05--18) 북한 김책공대 수질종합측정기 개발 북한 김책공업종합대학 전자공학부가 김정은의 지시에 따라 자체적으로 수질종합측정기를 개발했다고 합니다. 대북소식통에 따르면 북한 로동신문은 5월 17일 김책공업종합대학 전자공학부에서 개발한 수질종합측정기가 수질을 종합적으로 측정 분석해주고 측정 정밀도도 높아 여러 기관에서 사용하고 있다고 보도했습니다. 로동신문은 지난해 김정은이 메기 공장을 현지 지도하시면서 물온도와 수질을 실시간 감시하고 조절할 수 있게 컴퓨터에 의한 종합조종체계를 구축해야 한다고 지시해 수질종합측정기가 개발됐다고 설명했습니다. 북한이 만든 수질종합측정기는 수질분석의 기본지표인 페하, 전도도, 산화환원전위차, 염도 등과 양이온, 음이온의 농도를 측정해 표시하는 디지털측정설비라고 .. 더보기
김책공대, 차세대 MES(통합생산관리시스템) 개발 (2015-05-15) 김책공대, 차세대 MES(통합생산관리시스템) 개발 북한 김책공업종합대학이 표준화 된 통합생산관리시스템(MES)을 새로 개발했다고 합니다. 대북소식통에 따르면 북한 조선중앙통신이 이같은 내용을 보도했습니다. 조선중앙통신은 통합생산관리체계가 과거 기계제작 공장들에 사용됐던 컴퓨터통합생산체계를 생산공정이 흐름식으로 돼 있는 모든 공장, 기업소들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새로운 형태의 기업운영방식이라고 설명했습니다. 김책공대는 연속생산공정을 필요로 하는 공장, 기업소들에 일반화할 수 있는 새로운 통합생산관리체계를 확립했다고 합니다. 북한 MES는 생산공정의 CNC화체계, 생산지원체계, 경영관리지원체계로 구성돼 있고 정보적으로 통합돼 있으며 장치 및 프로그램 표준설계가 완료됐다고 합니다. 또.. 더보기
북한 "홍길동은 실존인물,오키나와로 갔다" (2015-05-14) 북한 "홍길동은 실존인물, 오키나와로 갔다" 북한이 허균의 국문소설 홍길동전의 주인공 홍길동이 실존 인물이라고 주장했습니다. 대북소식통에 따르면 북한의 대외 선전매체 조선의오늘은 5월 14일 "최초의 극문학소설인 허균의 작품 홍길동전에 나오는 주인공 홍길동은 전설 속의 인물이 아니라 실지로 존재한 인물이다"라고 밝혔습니다. 북한 영화에 등장하는 홍길동 모습 조선의오늘은 조선왕조실록에 홍길동을 도적 또는 강도라고 기록돼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또 황윤석이 쓴 야담집에는 '홍길동이 첩의 자식이라 과거를 볼 수 없어 집을 떠나 의적활동을 하다가 해외로 탈출했다'는 기록도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북한은 홍길동의 이복형인 홍길형이 1420년경에 태여났으며 홍길동의 출생은 1420년 이후로 추정.. 더보기
북한 "첨단 의료기기 생산" (2015-05-13) 북한 "첨단 의료기기 생산" 북한이 초음파진단기, 전자위내시경 등 첨단 의료기기를 생산하고 있다고 합니다. 대북소식통에 따르면 5월 11일 조선중앙통신은 CNC화를 실현한 평양전자의료기구공장에서 현대적인 진단설비들의 생산을 늘이고 있다고 보도했습니다. 조선중앙통신은 평양전자의료기구공장이 얼마전까지 일반의료 설비를 생산했는데 최근에는 복부초음파진단기, 전자위내시경, 디지털심전계 등 10여종의 첨단전자의료기지를 생산하고 있다고 소개했습니다. 이 공장은 CNC화된 공작기계를 활용해 첨단전자의료기기를 제작하고 있다고 합니다. 강진규 기자 wingofwolf@gmail.com 더보기
북한 "음성통화, 데이터통신, 영상서비스 단일망에서 제공" (2015-05-12) 북한 "음성통화, 데이터통신, 영상서비스 단일망에서 제공" 북한이 음성통화, 데이터통신, 영상서비스 단일망에서 제공하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합니다. 대북소식통에 따르면 북한 로동신문은 지난 4월 22일 개막됐던 제30차 중앙과학기술축전에서 특등으로 선정된 기술을 소개했습니다. 제30차 중앙과학기술축전 모습 로동신문은 중앙정보통신국이 소프트교환기를 개발, 선보여 특등상을 받았다고 설명했습니다. 중앙정보통신국은 단일한 망에서 음성서비스와 자료통신서비스, 다매체서비스(영상서비스) 등 다양한 정보통신서비스를 실현할 수 있는 소프트교환망을 형성하는데 필요한 소프트교환기를 북한 환경에 맞게 개발했다고 하니다. 또 이를 현재 통신망과의 결합했다고 합니다. 또 북한은 공장자동화분야의 성과들이 특등.. 더보기